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롯데그룹 수사 급류]끊임없는 특혜의혹…7년전 이미 ‘롯데게이트’ 예견?
강창일 의원 “반드시 불거질것”
이명박 前대통령 61학번 동기
장경작사장 연결고리도 도마에



“이명박 대통령 그만두고 몇년 후 반드시 이 문제(제2롯데월드 인허가)는 롯데 게이트로 발전합니다. 저하고 약속합시다. 5년 후에 이 문제가 불거지나 안 불거지나…” (강창일 민주당 의원)

“절대로 게이트로 발전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해서 정리를 하겠습니다.” (한승수 국무총리)

2009년 4월 6일. 대정부질문이 진행된 국회 본회의장은 제2 롯데월드 문제를 놓고 뜨겁게 달아올랐다. 일주일 전 국무총리실 행정협의조정위원회가 제2 롯데월드 신축을 허가하기로 최종 결정한 직후였다.

검찰이 롯데그룹에 대한 전방위 수사를 벌이면서 7년전 MB 정부 당시 불거진 제2롯데월드 인허가 비리에까지 칼을 들이댈 지 관심을 모으고 있다. [사진=헤럴드경제DB]

1994년 김영삼 정부 때부터 노무현 정부까지 16년간 번번이 ‘퇴짜’를 맞았던 제2 롯데월드 프로젝트가 MB 정부에 들어와서 승인되자 특혜 논란은 끊이지 않았다.

롯데그룹이 이 대통령의 절친한 친구이자 고려대 경영학과 61학번 동기인 장경작(73) 당시 호텔롯데 총괄사장을 통해 교착상태에 빠진 제2롯데월드 문제를 해결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강 의원은 이를 ‘롯데 게이트’라고 명명하고 정부가 다시 판단할 것을 요구했다. 한 총리는 게이트 논란을 일축하며 강행 의사를 밝혔다. 그로부터 7년이 지난 현재 한 총리의 공언과 달리 ‘롯데 게이트’는 현실이 돼가고 있다는 시각이 나온다.

검찰이 롯데그룹 전반에 대해 수사에 나서면서 그동안 묻혀 있던 제2 롯데월드 인허가 문제도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MB 정부 당시 이 대통령과 장 사장 간의 관계에 빗대 ‘친구 게이트’라는 말까지 나돌며 제2 롯데월드를 둘러싼 의혹은 무성했다.

이에 청와대는 ‘의심암귀(疑心暗鬼ㆍ의심하면 마음 속에 망상이 생겨 불안함)’라며 세간의 의혹을 근거 없는 주장으로 일축했었다.

야권에서 진상규명과 재검증을 요구했지만 제2롯데월드 공사는 많은 의혹을 떠안은 채 그대로 진행됐다.

그러나 올해 연말 제2 롯데월드의 완공을 앞두고 7년 전 예견된 ‘롯데 게이트’ 수사도 가시화되고 있다.

검찰이 뒤늦게 칼을 빼든 것에 대해 일각에서는 임기 말에 접어든 현 정권의 국면전환용이라는 비판이 나오지만 상대가 재계 5위의 대기업인 만큼 ‘무리한 수사’, ‘기업활동 위축’이라는 비난을 피하기 위해 검찰이 구체적인 단서 확보와 자료 축적에 주력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검찰 관계자는 15일 이와 관련해 “그동안 입수된 첩보를 바탕으로 장기간 내사를 진행했다”며 “특히 올 3~4월 롯데그룹 내부 사정과 관련해 상당량의 기업 첩보가 들어와 들여다보고 있었다”고 밝혔다.

롯데그룹이 지난해부터 ‘형제의 난’을 거치면서, 베일에 가려진 그룹 경영정보가 새어나와 검찰 수사에 힘을 실어줬다는 분석도 나온다.

검찰은 일단 롯데그룹의 비자금 조성과 횡령, 배임 등 기업 비리에 초점을 맞춰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롯데가 제2 롯데월드 건설 과정에서 예비역 공군 중장 천기광(69) 씨에게 10억여원을 전달한 정황이 나오면서 당시 정ㆍ관계 및 군 인사에 대한 수사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검찰이 결국 MB 정부 인사들에게까지 칼을 들이댈 경우 이번 롯데 수사는 7년전 강 의원의 예견대로 롯데 게이트로 번질 수도 있다는 견해는 그래서 제기된다.

김현일 기자/joz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