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롯데 검찰 수사] 檢, “신동빈 귀국, 수사에 영향 없다…증거인멸 끝까지 추적”
-롯데 조직적 증거인멸 시도…신 회장 “수사 협조” 발언 주목

-롯데케미칼 해외 비자금 조성 의혹 수사도 본격화



[헤럴드경제=양대근ㆍ김현일 기자] 검찰의 전방위 사정으로 궁지에 몰린 신동빈(61) 롯데그룹 회장의 귀국 일정이 확정된 가운데, 검찰 측은 “수사에 큰 지장이 없다”며 선긋기에 나섰다. 두 차례의 압수수색에서 일어난 그룹 차원의 조직적 증거인멸과 관련해서도 CCTV 등을 활용해 끝까지 추적하겠다는 의지도 내비쳤다.

신동빈 회장.

15일 검찰 고위관계자는 신 회장의 귀국과 관련 “(신 회장의) 출ㆍ입국 여부와 수사 진행과는 큰 관련이 없다”며 “계획대로 수사를 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신 회장은 15일(한국시간) 미국 루이지애나 현지에서 한국 특파원들에게 “(이번 수사에) 책임을 느끼고 모든 회사에 (검찰수사에) 협조하도록 이야기하고 있다”며 “이달 말 일본에서 주총이 끝나면 곧바로 귀국하겠다”고 언급한 바 있다.

검찰 이미지.

검찰의 ‘선긋기 시도’와 관련 신 회장의 귀국에 따른 수사 흐름의 반전 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하고, 최근 이뤄진 롯데그룹 일부 계열사들의 조직적 증거인멸에 대해 경고성 메시지를 전한 것이라는 해석도 나오고 있다.

전날 롯데건설ㆍ롯데케미칼 등 계열사 10곳을 포함해 총 15곳에 대한 2차 압수수색에 돌입했던 서울중앙지검 특수4부(부장 조재빈)과 첨단범죄수사1부(부장 손영배)는 1차 압수수색 때보다 훨씬 큰 규모의 조직적 증거인멸 정황을 포착했다.

모 계열사의 경우 직원들이 차로 자료를 빼돌리거나 쇼핑백 등을 활용해 밖으로 옮기려다가 검찰에 적발됐고, 다른 계열사는 자료삭제프로그램(WPM)으로 컴퓨터 하드디스크를 지운 흔적도 발견했다. 

검찰 수사를 받고 있는 롯데가 전경.

이와 관련 검찰 관계자는 “(외부로 반출된 자료 가운데) 일부는 확보했다. 추가적인 반출 자료가 있는지 CCTV 등을 분석해 추적하고 있다”며 “추적 결과 증거혐의가 입증된 이들에 대한 신병처리는 다 가능하다”며 이번 증거인멸 행위에 대해 강력히 대응할 방침임을 시사했다.

한편 검찰은 롯데케미칼이 위장 거래를 통해 해외에서 비자금을 조성한 혐의를 포착하고 이번 압수수색에서 확보한 자료들에 대한 본격적인 확인ㆍ분석 작업에 돌입했다.

롯데케미칼은 지난 2010년부터 2014년 사이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시아에서 석유화학 제품 원료를 수입하는 과정에서 모 무역중개 회사를 통해 수백억원의 비자금을 조성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검찰은 원료 수입 당시 이 중개회사의 홍콩 법인과 일본의 롯데 계열사를 거치도록 하는 등 실제 가격보다 장부상 가격을 올려 비자금을 만든 것으로 의심하고 관련 혐의 입증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bigroot@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