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롯데 검찰 수사] ‘비자금 창구’로 떠오른 롯데케미칼…신 회장 수사 임박
-그룹 최대 상장사 롯데케미칼, 해외 거래만 5조…검찰 수상한 자금흐름 확인

-일본 롯데물산 통해 비자금 조성의혹 밝혀지면 신회장 등 형사 대상 될수도



[헤럴드경제=박일한 기자] 롯데그룹 비자금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롯데케미칼(옛 호남석유화학)로 칼끝을 확대했다. 국내 상장된 롯데 계열사 중 시가총액 9조8000억원으로 가장 큰 회사다. 해외에서 1년간 수입하는 원재료 비용만 5조원에 달한다. 해외에서 거래가 많은 만큼 감시하기 어렵고 복잡해 ‘비자금’ 조성이 쉬웠을 것이라는 게 검찰의 판단이다. 롯데케미칼이 롯데그룹 ‘해외 비자금’ 창구라는 의혹을 받는 이유다. 


서울중앙지검은 14일 진행한 롯데그룹 2차 압수수색에서 롯데케미칼을 집중 타깃으로 삼았다. 서울 관악구에 있는 본사는 물론 울산공장, 허수영 대표이사 자택과 핵심 임원들의 집에까지도 모두 수사관들을 보내 각종 서류와 컴퓨터 자료 등을 압수했다. 허 대표는 물론 다수의 고위 임원들에 대해서는 출금 금지까지 시켰다.

검찰은 롯데케미칼이 해외 업체로부터 원료를 수입하면서 비자금을 만들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원료를 수입할 때 원재료 수입업체가 요구한 가격보다 더 비싸게 산 것처럼 대금을 낸 뒤 추가 지급한 돈을 해외에서 빼돌리는 방식이다.

예컨대 롯데케미칼은 인도네시아 석유화학 원료업체로부터 부타디엔 등 석유화학제품 제조에 필요한 원료를 수입하는데, 석유화학 무역업을 하는 협력업체 A사의 홍콤법인이 이 거래를 연결했다. A사는 롯데케미칼을 대신해 인도네시아 석유화학업체로부터 원료를 수입해 전달하고, 롯데로부터 돈을 받아 바로 지급하면 된다. 그런데 롯데케미칼이 지불한 수입 대금은 바로 인도네시아 업체로 가지 않고 일본 롯데물산을 거치도록 했다. 굳이 불필요한 거래과정을 한 단계 추가해 일본 롯데물산이 일부 수익을 남길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른바 ‘통행세’다. 이 과정에서 비자금이 조성됐을 가능성이 크지 않느냐는 게 검찰이 주목하는 점이다. 롯데케미컬이 이런 방식으로 일해 온 2010년부터 최소 3년간만 따져도 최소 200억원대의 해외 비자금 조성이 가능했을 것이라는 게 안팎의 분석이다.

이런 의혹이 설득력을 갖는 이유는 롯데케미칼과 해외 원료 회사를 중개해온 협력업체 A사의 홍콩법인이 사실 실체가 없는 서류상의 페이퍼컴퍼니라는 지적이 있기 때문이다. 페이퍼컴퍼니는 계좌 추적이 어려워 거래자금의 출처를 숨길 때 주로 이용된다. A사 대표를 포함한 주요 임원은 홍콩법원 설립 후 인력을 보내 근무한 사실이 없는데도 업무 비용을 회계에 반영해 횡령한 혐의를 받고 있다.

검찰 수사 과정에서 이 점이 구체적으로 확인될 경우 롯데그룹은 엄청난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 롯데케미칼은 지난해 9900억원대 당기순이익(연결 기준)을 기록한 롯데그룹의 미래 성장동력으로 꼽힌다. 신동빈(61) 회장은 지난달 석유 화학 소재 산업을 유통과 같은 규모로 키울 것이라고 밝히기도 했을 정도다. 이번 사태로 롯데케미칼이 해외 비자금 창구로 드러날 경우 신 회장을 포함해 허수영 사장 등이 모두 형사처벌 대상이 될 수 있다. 자사의 수익을 해외로 빼돌렸고, 회사 수익성을 악화시켰다는 혐의로 해외 조세포탈 및 배임죄가 성립되기 때문이다.

이렇게 되면 일본 롯데물산을 통해 만들어진 비자금이 어디에 쓰였는 지에 대한 관심도 커질 수밖에 없다. 이 자금이 오너 일가와 일본 주주들에게 쓰였다는 점이 확인될 경우 형인 신동주 회장과 경영권 분쟁을 벌이는 신 회장은 국내 회사 수익을 자신의 경영권 강화에 쓰였다는 비난을 받을 가능성도 있다.

jumpcut@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