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구의역 사고 진상규명위 ‘제보 핫라인’ 가동… 포상금까지 제공
-진상규명위원회 첫 회의…현장 방문 및 심층면담 결정
-시민 및 관계자 제보망 개설, ‘유익한’ 정보엔 포상금



[헤럴드경제=이원율 기자] ‘구의역 사망사고’ 진상규명이 본격 시작된다. 서울메트로 현장 방문은 물론 속한 관계 직원들의 심층 면담도 진행될 예정이다. 시민ㆍ관계자의 제보를 위한 핫라인을 가동, 필요시 포상금도 지급하기로 했다.

8일 민ㆍ관 합동 ‘구의역 사고 진상규명위원회(위원장 김지형)는 첫 회의를 통해 이같은 내용을 결정했다. 이번 회의는 감사위원회가 사고발생부터 지금까지의 조사내용 보고, 이후 조사담당 공무원 중심으로 향후 방향을 토의하는 과정으로 이뤄졌다.


위원회는 자리를 통해 서울메트로와 은성PSD, 유진메트로 등 관련기관을 직접 방문하기로 했다. 과정에서 관제실 직원과 기관사, 정비인력 등 현장인원의 심층 면담도 마련할 계획이다.

또한 이번 사건 조사로 시민 안전, 생명의 근본 대책을 만들 수 있게 조사 대상범위의 제한을 없앴다. 조금이라도 의심가는 사항은 모두 조사대상에 둔다는 방침이다.

한편 위원회는 은성PSD 등 용역업체 직원뿐만 아닌 일반 시민의 제보도 적극 반영하기로 입을 모았다. 전문가나 공무원 시각에 닿지 않는 ’숨은‘ 위험을 파악하기 위해서다.

기관 내부자가 아니면 알기 어려운 정보 또한 이들을 대상으로 제보망을 열어 상시 접수받는다. 위원회는 제보가 도움이 된다고 판단할 시 포상금도 제공할 예정이다. 특히 해당 정보가 내부자 제보일 경우 최대한 징계를 덜 수 있게끔 검토한다.

제보는 전화ㆍ인터넷 등 수단을 통해 할 수 있다. 서울시 감사위원회 부패신고센터(02-2133-4800), 서울시 공익제보 지원센터(02-2133-3447)가 전화제보를 담당한다. 인터넷은 서울시 홈페이지의 ‘원순씨 핫라인’을 통해 가능하다. 제보 과정에서 신분 노출이 우려될 경우 철저히 익명성을 보장한다는 게 위원회의 설명이다.

위원회는 매주 화요일 정례회의 일정이 잡혔다. 이제 현장방문과 관계자 면담이 끝나면 회의에선 해당 자료를 공유ㆍ토론하게 된다. 위원회와 담당 공무원의 모든 자료는 웹하드를 통해 공유할 예정이다. 이들의 활동은 7월까지 이어진다.

yu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