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안전’, 어디 갔나요 ①] 하천변 산책로 ‘너마저’…알고보니 CCTV 사각지대
-중랑천, 안양천, 탄천 등 주요 한강 지류 둔치, 방범용 CCTV 턱없이 부족해

-CCTV 운영 중인 곳도 치수용 저화질 카메라 사용…범죄자 신원 확인도 못해

-컨트롤타워 부재, 예산 문제 등으로 안전대책 지지부진



[헤럴드경제=신동윤ㆍ유오상 기자] 많은 시민들이 야간 운동 장소 등으로 선호하고 있는 하천변 산책로와 자전거도로가 알고보면 범죄로부터 취약한 폐쇄회로(CC)TV ‘사각지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하철, 등산로 등 사람이 적지 않은 장소에서 ‘묻지마 범죄’가 극성을 부리고 있는 것과 관련해 개선이 필요해 보인다.

9일 서울 시내 주요 한강 지류의 관리를 담당하고 있는 관계 구청 관계자들에 따르면 중랑천, 안양천, 양재천, 탄천 등 해당 하천 주변에 설치된 산책로와 자전거도로에는 범죄 예방을 위한 CCTV가 대부분 설치ㆍ운영되지 않고 있다.

중랑천의 지천인 서울 노원구 당현천에 설치된 치수용 CCTV의 모습. 하천 수위를 판단하기 위한 저화질 카메라를 사용하고 있어 범죄가 발생하거나 범죄자가 도주할 경우 신원 파악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것이 구청 관계자의 설명이다. 신동윤 기자/realbighead@heraldcorp.com
서울 구로구 안양천에 설치된 다목적용 CCTV의 모습. 유오상 기자/osyoo@heraldcorp.com

우선 서울 동북부 7개구(광진ㆍ노원ㆍ도봉ㆍ동대문ㆍ성동ㆍ성북ㆍ중랑구)를 가로지르는 중랑천의 경우 관할지역을 담당하는 각 구청들은 산책로와 자전거도로에 방범용 CCTV를 운영하지 않고 있다. 서울 서남부 5개구(강서ㆍ구로ㆍ금천ㆍ양천ㆍ영등포구)를 지나는 안양천의 경우도 상황은 비슷했다. 안양천과 지천이 도림천 합류 지점에 설치된 다목적 CCTV 한 대를 제외하곤 전무한 실정이다. 이는 서울 동남부를 흐르는 탄천 역시 마찬가지라는 게 경찰 관계자의 설명이다.

중랑천과 안양천, 탄천 등 한강 주요 지류에서 뻗어 나간 많은 지천에서는 각 관할 구청에서 장마철 익사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수위 감시용으로 CCTV를 다수 설치ㆍ운영하고 있기는 했다. 하지만 이는 하천의 범람에 따른 위험 정도만을 판단하기 위한 장비다보니 저화질 카메라를 사용, 방범에는 무용지물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 구청 관계자는 “현재 설치된 수위ㆍ수문 감시용 CCTV의 경우 하천의 범람에 따른 보행자의 안전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설치된 것으로 대부분 하천 물줄기 방향으로 촬영하고 있어 주변 자전거도로와 산책로의 통행자를 인식하는데는 한계가 있다”며 “게다가 범람 여부만 판단할 수 있을 정도의 저렴하고 화질이 낮은 카메라를 사용하다보니 통행자의 얼굴 인식을 통한 신원 확인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보면 된다”고 했다. 다른 구청 관계자는 “경찰 측에서 올해 초 달아난 범인의 동선을 파악하겠다고 CCTV 영상을 분석한 적 있지만 활용도가 높은 정보를 얻는데는 실패했다는 얘기를 들었다”고 덧붙였다.

하천변 자전거도로와 산책로에서는 자정에 가까운 시간에도 많은 주민들이 나와 운동을 즐기는 모습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하지만 그에 부합하는 방범 시스템은 제대로 갖춰지지 않다보니 시민들은 범죄 위험에 고스란히 노출되고 있다. 신동윤 기자/realbighead@heraldcorp.com
하천변 자전거도로와 산책로에서는 자정에 가까운 시간에도 많은 주민들이 나와 운동을 즐기는 모습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하지만 그에 부합하는 방범 시스템은 제대로 갖춰지지 않다보니 시민들은 범죄 위험에 고스란히 노출되고 있다. 신동윤 기자/realbighead@heraldcorp.com

이 같은 사실을 안 시민들은 불안하다는 반응이다.

중랑천에서 만난 노원구 주민 이모(56ㆍ여) 씨는 “최근 등산객이 많이 다니는 수락산 등산로에서도 살인 사건이 나는 것을 보며 무서웠는데 하천변 산책로에도 안전을 위한 장비가 부족하다는 사실을 접하니 더 불안하다”며 “지자체나 경찰에서 하루빨리 대책을 마련해줬으면 한다”고 했다. 안양천에서 매일 같이 조깅을 한다는 최모(27ㆍ여) 씨는 “특히 저녁에 가로등도 부족하기 때문에 천변 곳곳이 어둡다. 사람 왕래가 많긴 하지만 무서운 것이 사실”이라며 “CCTV 뿐만이 아니라 주택가처럼 비상 신고 버튼이나 안전 안내판 같은 거라도 있으면 좋을텐데 아무것도 없다”고 했다.

사실상 시민 안전이 구멍난 상태지만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 수립은 여전히 지지부진하다. 천변 안전 관리에 대한 책임이 지역 지자체와 경찰 간에 명확하지 않은데다, 각 구역별 관리가 관할 구청별로 따로 이뤄지다보니 체계적으로 방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서대문경찰서 관계자는 “하천 주변 CCTV를 설치ㆍ운영하는 서울 시내 지자체 측에 치안 강화를 위한 방범 CCTV를 설치하거나 화질이 좋은 고급형 카메라로 교체할 것을 수차례 요청했지만 협조가 잘되지 않고 있다”고 했다.

예산 문제 역시 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구로경찰서 관계자는 “고화질 카메라를 설치한다고만 해서 치안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해당 시스템에 대한 관리 인력도 충원해야하다보니 필요한 예산의 규모가 큰 것으로 알고 있다”며 “이런 한계점으로 인해 범죄 예방을 위한 조치가 전혀 없다는 부분은 경찰 입장에서도 안타깝다”고 했다.

realbighead@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