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전경련, “투자개발형 건설수주 성공사례 공유합니다”
[헤럴드경제=윤재섭 기자]해외건설시장에서 고부가가치의 투자개발형 사업 비중이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투자개발형 해외건설수주 성공사례를 공유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회장 허창수)는 8일 오전 전경련 컨퍼런스센터에서 해외 선진기업들의 투자개발형 해외건설수주 성공 사례를 공유하는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선 또 신흥시장에서 우리기업의 프로젝트 수주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방안 등도 함께 논의됐다. 


전경련은 최근 이란, 아프리카 등 신흥국 대상 해외건설 프로젝트 시장 진출 가능성이 확대되면서 이에 대한 우리기업들의 관심이 높아져 이번 간담회를 개최하게 됐다고 밝혔다.

전경련에 따르면 해외건설수주의 유형은 시공자의 업무 범위에 따라 단순도급형과 시공자금융제공형, 투자개발형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가운데 최근에는 신흥국을 중심으로 발주국의 재정부담을 낮추고, 인프라 확충을 신속화하기 위해 민간부문의 투자를 적극 활용한 시공자금융제공형이나 투자개발형의 비중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반면, 한국 기업은 이러한 추세를 따르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단순도급형 수주 비중이 높은 상황이다. 실례로, 지난해 전체 해외 건설수주의 약 90%는 단순도급형이었다.

이날 초청연사로 나선 맥쿼리캐피탈 김병기 전무는 “기업들이 단순도급형 위주의 수주보다는 수익성이 좋은 투자개발형 수주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면서 북미와 유럽, 아시아 등의 투자개발형 해외건설시장의 최근 트렌드와 수주 성공 사례를 소개했다.

엄치성 전경련 국제본부장은 “이제는 해외건설시장에서 단순도급형 수주만으로 우리 기업이 버티기 힘들다”며 “해외건설사업의 수익성 제고를 위해 투자개발형 사업으로 진출을 활성화해야하고, 한국기업의 투자개발형 해외건설수주 열세의 주요 원인인 파이낸싱 분야의 역량 강화가 절실하다”고 전했다.

한편 이날 간담회에는 대림산업, GS건설, 현대엔지니어링 등 주요 기업 임원 20여명이 참석했다.

i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