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공공사업, 홍대 앞 문화 예술에 독일까 약일까
[헤럴드경제=이은지 기자] 각종 공공지원 사업들이 집중되고 있는 마포구 홍대 앞의 문화 예술 생태계를 두고 토론의 장이 마련됐다.

7일 오후 2시 서울 마포구 그문화 갤러리에서 ‘공공사업이 홍대앞 문화예술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주제로 문화 생태계와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에 관한 토론이 열렸다. 이날 자리에는 관련 예술가와 상인을 비롯해 이광준 ‘홍우주 사회적 협동 조합’ 이사, 김남균 ‘상수 상인회’ 간사가 참여했다.

먼저 이광준 이사의 발제로 행사가 시작됐다. 이 이사는 문화생태계를 수많은 개체군이 모인 군집생태학적 관점에서 접근했다. 이 이사는 “생물 다양성이 보장돼야 할 홍대 앞 생태계가 이윤 창출과 결합한 대중 문화군에 의해 절멸되고 있다”며 “공공 지원 사업이 제대로 작용하지 못해 문화 예술 군집생태계를 오히려 파괴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군집 생태계가 상업생태계로 변화”하고 있는 점을 꼬집었다.


대표적으로 “난 개발형 걷고 싶은 거리 조성 사업, 문화거점 공공매입 정책 부재, 365번지 문화재생 실패, 상업화에 대한 브레이크 제도 부재의 문제”를 꼽으면서 이러한 문제가 “가습기 살균제 사태처럼 공공성이 있어야 할 곳에 공공성이 없을 때 발생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이사는 “그 동안의 공공사업의 형태는 보존과 보호가 없었고 규제와 정책에 더 가까웠다”며 “지역주민들이 만족하는 지역은 모두가 만족할 수 있기에 문화예술 생태계와 지역 주민이 공동 운명체라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고 말했다. 대책으로는 “공공사업에 대해 모니터링 및 탐정단을 만들어 감시활동을 하고 공공사업 결과를 열람할 수 있도록 정보 공개법을 적극 활용”하는 안을 제시했다.

다음은 김남균 상수 상인회 간사가 ‘젠트리피케이션’을 주제로 발제를 이었다. “지가 상승을 그대로 놔두는 건 황금알을 낳는 거위의 배를 가르는 것”이라고 강조하며 ‘젠트리피케이션’을 정부가 나서 제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젠트리피케이션을 막자고 구에 얘기해도 걷고 싶은 거리 활성화 방안만 논의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며 “지역민 중심이 아니라 관광객 중심, 상업 활성화 정책에 집중 돼 있는 공공사업이 문제”라고 말했다.

특히 ‘걷고 싶은 거리’ 사업을 강도 높게 비판했다. “지금의 걷고 싶은 거리 주변에는 다양한 문화공간이 자리잡은 게 아니라 화장품 가게, 핸드폰 가게 등 상업공간으로 전락했다”며 “지대 상승으로 걷고 싶은 거리가 걷고 싶지 않은 거리가 됐다”고 설명했다.

또 “문화 지원 제도, 가로 정비 사업, 녹지화 사업 등 행정 지원이 지가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다”며 “젠트리피케이션으로 인해 지역에 풀 뿌리 문화가 뿌리를 내리지 못하고 공동체 형성, 주민 참여가 어려워지고 있다”고 말했다. 김 간사는 ”문화가 지역에서 뿌리는 내리고 융성 되기 위해서는 지가 안정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끝으로 관에서 예술가를 바라보는 시각도 비판했다. “예술가를 지역 활성화의 도구로 보고 있는 게 문제”라며 “예술가는 도구가 아니라 주체”라고 거듭 역설했다.

leunj@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