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수소차의 경제학] 미세먼지 해결이 전부가 아니다
[헤럴드경제] “수소전지차로 블랙아웃도 해결 할 수 있다”

2016 부산국제쇼 개막을 하루 앞둔 지난 2일, 벡스코 컨벤션홀에서 열린 미디어 초청행사에서 현대차그룹 연구개발본부장인 권문식 부회장은 귀를 의심케 하는 주장을 펼쳤다.

권 부회장은 “수소차는 전기를 만들어 동력으로 사용하지만, 주차돼 있으면 전기 발생원으로 쓰일 수 있다”며 “부족한 전기량을 보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권 부회장은 “수소전지차 10만대를 세워놓고 전기를 생산하면 원자로 1개를 짓지 않아도 된다”며 “수소차를 주차하면 주차료를 내는 것이 아니라 전기료를 받게되는 시대가 올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날 권 부회장의 예언(?)은 허언이 아니다. 수소와 공기 중의 산소를 반응시켜 만들어낸 전기를 동력으로 이용하는 수소연료전지차는 물 이외에 어떤 오염물질도 배출하지 않는 친환경차의 ‘끝판왕’이다.

지난해부터 이어진 폭스바겐ㆍ닛산의 ‘디젤게이트’와 더불어 미세먼지로 인한 대기오염 악화가 국가적 과제로 대두되면서 친환경차에 대한 관심도 어느 때 보다 뜨겁다.

하지만 현재 개발이 성과를 거두고 있는 하이브리드(HEV)는 가솔린 엔진이 일정부분 동력으로 이용된다는 점에서 완전무결한 친환경차로 보기는 힘들다.

또 플러그드인하이브리드(PHEV)와 전기를 사용해 달리는 순수전기차(EV)는 아직은 부족한 주행거리와 배터리 충전시설 같은 인프라 구축 등이 걸림돌로 꼽힌다.

수소연료전지차(FCEV) 역시 차량내부에 장착되는 수소탱크의 용량과 안정성, 수소충전시설 등이 해결해야 될 과제로 남아있지만, 경제성으로 따져볼 때 친환경차의 미래는 수소전지차라는 게 업계와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견해다.

경제효과면에서 수소차는 단연 앞선다.

휘발유나 전기가 외부에서 공급돼야 가동되는 다른 친환경차와 달리 수소전지차는 수소만 공급되면 자체적으로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움직이는 ‘미니 발전소’다.

한국자동차산업연구소에 따르면 디젤차(투산 ix 2.0디젤 기준) 100만대를 수소차로 바꾸면 연 1조5000억원에 달하는 원유수입대체 효과가 발생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또 수소차 100만대가 만들어내는 전력량은 신고리 원자력발전소와 같은 1GW급 원전 10기와 맞먹는 것으로 알려졌다. 1GW급 원전 10기를 만드는 데 드는 비용은 30조원에 달한다. 30조원이면 약 12억원에 달하는 수소차 충전소 2만5000곳을 만들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이는 현재 1만2천여곳에 달하는 주유소 숫자의 2배가 넘는다.

환경비용ㆍ산업 측면에서도 수소차의 경제성은 빛을 발한다.

산자부와 환경부가 지난해 말 합동으로 내놓은 ‘수소차 보급 및 시장 활성화 계획’에선 수소차 1대당 연간 2톤 가량의 온실가스가 감축되는 것으로 전망됐다.

정부의 계획대로 오는 2030년까지 수소차 63만대가 보급되면 온실가스 440만톤, 대기오염 물질 5480톤을 감축할 수 있다. 또 휘발유 4억5000만ℓ, 경유 1억8000만ℓ 등 9조원 가량의 석유소비 대체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이 밖에 수소차는 수출 55조원, 내수 24조원에 달하는 경제효과와 함께 충전소ㆍ수소산업 등에서도 4조1000억원의 생산유발효과가 예상된다.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이 하이브리드를 거쳐 전기차에 집중하고 있는 지금, 우리는 수소전지차 시장을 선점하는 전략을 펼쳐야한다”며 “대기오염을 줄이겠다고 경유값 인상 같은 대책을 내놓을 것이 아니라 정부 차원에서 수소차에 대한 지원을 늘려 시장을 넓히는 게 환경면에서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유재훈 기자/igiza77@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