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美 FOMC 열흘 앞으로…7월 금리인상에 무게
- 고용지표 악화에 6월 인상 어려울 듯

[헤럴드경제]미국 기준금리 인상을 결정할 6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앞두고 유력하게 거론되던 금리 인상 가능성이 다소 뒷걸음질을 쳤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ㆍ연준)는 현지시간으로 오는 14∼15일 6월 FOMC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 추가 인상 여부를 결정한다. 회의 결과는 한국 시간으로 16일 새벽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달 공개된 4월 FOMC 의사록에 매파(통화긴축 선호)적인 내용이 담긴 것으로 나타나면서 시장에서 예상하는 6월 금리 인상 확률은 다소 높아졌다. 그러나 현지시간으로 3일 미국이 예상을 벗어난 고용지표를 발표하자 6월 인상 가능성은 다시 후퇴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 의장

미국 노동부는 5월 비농업 부문 고용이 3만8000명(계절 조정치) 증가해 2010년 9월 이후 최저 수준을 보였다고 발표했다. 이는 마켓워치 조사치 15만5000명 증가를 하회한 것이다.

고용지표 발표 후 연방기금(FF) 금리선물 시장은 6월 금리 인상 가능성을 21%에서 4%로, 7월은 60%에서 34%로 각각 낮춰 반영했다.

김형렬 교보증권 매크로팀장은 4일 “물가와 고용 조건이 충족돼야 금리를 올리기로 한 만큼 6월 금리 인상은 사실상 물 건너갔다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다만, 신규 고용은 예상을 밑돌았지만, 실업률은 떨어지는 등 미국 고용 상태는 심각하지 않고 오히려 안정적”이라며 “연내 두 차례 금리를 올린다고 가정하면 7월 금리 인상 가능성이 우세하다”고 설명했다.

강현철 NH투자증권 이사는 “미국이 7월에도 금리를 올리지 못한다면 대선을 고려할 때 연말께나 금리 인상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연준은 2008년 금융위기를 계기로 기준금리를 0∼0.25%로 낮추는 초저금리 정책을 7년간 유지하다가 지난해 12월 0.25∼0.5%로 연방 정책금리를 올렸다.

대다수 증시전문가도 미국 경제지표 개선세의 연속성을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하다면서, 7월이나 9월 인상 쪽에 무게를 더 두고 있다.

6월 회의에서 기초 자료로 쓰이는 베이지북이 4월13일 발표된 베이지북보다 경제활동에 대한 낙관 정도가 낮아진 것도 그 근거다.

이상재 유진투자증권 투자전략팀장은 “올여름 금리 인상 가능성은 유효하지만, 연준 위원 대부분이 중도-비둘기파(통화완화 선호)인 점을 감안하면 경제지표 개선을 더 확인하고자 할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백찬규 KB투자증권 연구원도 “연준이 글로벌 경제의 상관관계를 고려해 신중히 올릴 것으로 예상한다”며 7월 이후 인상 가능성을 더 높게 점쳤다.

오는 23일 영국의 브렉시트(Brexitㆍ영국의 EU 탈퇴) 국민투표를 앞두고 연준이 앞장서서 글로벌 금융시장의 불안정성을 키우는 모험을 선택하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