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Fed, 6월 금리인상 두고 ‘타이밍’ 고민…한 주 뒤 ‘브렉시트’ 투표가 골칫거리
[헤럴드경제=이수민 기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6월 금리인상 여부를 놓고 ‘타이밍’ 고민에 빠졌다. ‘브렉시트‘ 국민투표에 한 주 앞서 기준금리를 발표해야 하는 탓이다. 금리인상에 브렉시트까지 결정될 경우 금융시장 변동성이 우려된다. 그렇다고 타국의 투표를 의식해 금리를 조정하자니 미국 지표에 집중해야 한다는 의견도 만만치 않다.

경기 지표 개선에 따라 6월 금리인상 가능성에 점차 무게가 실리고 있는 가운데 브렉시트 투표를 금리인상 시 얼마나 고려해야 하는가를 두고 의견이 양분되고 있다고 3일 파이낸셜타임스(FT)는 전했다. 6월 기준금리를 인상할 경우 금융시장이 흔들리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시장에 아직 물가상승률이 완전히 목표치에 도달하지도 않았는데 해외 리스크를 감안하고도 금리를 올려야 하는 급박한 시점이라는 신호를 줄 수 있다.

[사진=게티이미지]

브렉시트 투표를 무시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는 데는 대체로 동의하는 분위기다. 제롬 파웰 Fed 이사는 투표가 금리인상 결정 시 “주의해야” 할 이유라고 말했다. 데니스 록허트 아틀란타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브렉시트 이슈가 “실질적 고려사항”이라고 말했다. 찰스 에반스 시카고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금리인상이 미국 지표에 기반해 이뤄져야 한다면서도 “다른 나라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는 아주 중요한 것은 아니지만, 물론 우리는 7월까지 기다릴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미국의 상황에만 초점을 맞춰 기준금리를 결정해야 한다는 반박도 나온다. 제임스 불라드 세인트 루이스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브렉시트 투표가 금리인상에 영향을 주도록 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그러나 전 세계의 상황을 염두에 두고 기준금리 인상 여부를 결정해 온 Fed인 만큼 브렉시트 투표 전망을 완전히 배제하고 금리를 결정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Fed는 지난해 9월부터 금리 동결시 원자재 가격 폭락 등 중국발 글로벌 경기 침체를 금리 인상 보류 이유 중 하나로 들어오곤 했다.

smstor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