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WP 베조스의 ‘신의 한수’ 홈피 방문자 NYT 추월
과감한 투자·웹 전면개편…인수 3년만에 괄목상대


“언론은 몰라도 인터넷은 좀 안다.”

140년 전통의 미국 유력신문 워싱턴포스트(WP)가 세계 최대 온라인쇼핑몰 아마존의 창업주 제프 베조스(52)의 손에서 다시 태어나고 있다. 20세기 전형적인 ‘신문사’가 21세기 ‘언론기술기업(Media Technology Company)’으로 거듭나고 있는 것이다. 베조스의 자산은 618억달러(72조8500억원)로 세계 4위 갑부다.

베조스는 2013년 WP를 2억5000만달러(2945억원)에 인수하며 세계를 깜짝 놀래켰다. 미디어 사업 경험이 전무한 베조스의 결단에 업계는 우려반 기대반의 시선을 보냈다.

당시 WP는 1970년대 ‘워터게이트(워터케이트 호텔 야당 선거본부 도청사건)’ 보도로 리처드 닐슨 대통령을 하야시킨 미국 미디어업계의 전설이었지만, 매출은 가라앉는 ‘거함’이나 다름없었다.

그러나 WP는 베조스에 인수된 지 3년이 채 되지 않아 괄목상대한 변화를 만들어내고 있다. 독자층이 증가하는 것은 물론 디지털 최적화 콘텐츠를 생산하는 ‘기술회사’로 변신 중이다. 지난해 11월에는 WP 홈페이지 순방문자(unique visitor) 수가 7000만명을 돌파하며 경쟁매체인 뉴욕타임스를 넘어섰다. 침몰해가는 WP를 되살린 베조스의 비법은 무엇이었을까.

2013년 워싱턴포스트를 인수한 제프 베조스.

엔지니어링팀 대폭 강화=베조스는 WP 인수 후 편집권에는 일절 간여하지 않았다. 대신 언론사가 ‘미디어기술기업’으로 탈바꿈할 수 있도록 물적ㆍ인적 투자를 아끼지 않았다. ‘인터넷 전문가’ 베조스는 먼저 WP 발행인부터 교체했다. 그는 ‘폴리티코’의 공동창업자 프레드릭 라이안 주니어를 발행인에 기용했다.

아울러 WP 웹사이트와 모바일 앱을 전면개편하고 ‘Arc’로 불리는 자체 콘텐츠관리시스템도 개발했다. Arc는 ‘A/B테스팅’과 같은 공통 웹전략을 사용해 각기 다른 헤드라인과 스토리 형식이 어떻게 독자들에게 영향을 주는지 추적하는 시스템이다. 독자의 기호에 맞춰 더 체계적인 분석과 마케팅 정보를 제공한다. 또 다른 출간물들로부터 기사를 골라내는 프로그램을 개발해 독자들에게 추천기사를 보여주고 어떤 것을 더 읽고 싶은지 묻기도 한다.

이같은 전향적인 시스템 개발을 위해 베조스는 엔지니어링팀을 대폭 강화했다. 700명에 달하는 WP 정직원 가운데 엔지니어링팀은 지난 2년새 3배 증가했다. 베조스가 “WP 기술팀은 실리콘밸리와 경쟁한다”고 말할 만큼 최강의 실력을 자랑한다. WP 기술 인력들은 영업팀은 물론 뉴스팀에 파견돼 함께 일한다. WP측은 “베조스와의 협업으로 엔지니어를 채용하는 것이 매우 쉬워졌다”고 전했다.

뿐만 아니라 많은 편집자와 기자도 새로 영입됐다. 하루 출고 기사 수를 1200개로 늘리고, 콘텐츠는 속보기사에서 호흡이 긴 피처기사, 사진 슬라이드쇼까지 질적으로 다양화했다. 국제잡지연맹(FIPP)은 “WP의 기자는 물론 디자이너, 전략가, 정보 설계사,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 및 포로토타이핑 개발 전문가 등 모든 직원이 WP 웹 플랫폼의 미래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평가했다. 


천예선ㆍ민상식 기자/che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