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롯데마트 PB상품 안전성검사 누락 추궁
검찰, 회사 관계자 등 조사
옥시 외국인 前대표는 23일 소환



초유의 가습기 살균제 사망 사건에 대한 수사가 속도를 내는 가운데 국내 대형 유통업체와 미국 유명 컨설팅사가 법적 책임을 놓고 치열한 공방전에 돌입했다.

20일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팀(팀장 이철희)은 이날 오전 롯데마트 제품의 안전성 점검 담당자인 황모 씨를 소환해 조사에 들어갔다. 옥시레킷벤키저(이하 옥시) 등 가해 기업 수사가 본격화한 이후 롯데마트 관계자가 검찰에 출석하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수사팀은 황 씨와 함께 롯데마트 자체 브랜드(PB) 상품 개발 및 마케팅을 맡은 미국계 컨설팅업체 D사의 한국법인 품질관리 책임자 조모 씨도 불러 강도 높은 추궁을 했다. D사는 자체 브랜드(PB) 상품 분야 전문 컨설팅업체로 전 세계에 수백개 지사를 보유한 글로벌 기업으로 꼽힌다.

2003년 한국에 지사를 설립한 이래 13년 동안 거의 모든 롯데마트 PB 상품의 개발ㆍ마케팅에 대한 컨설팅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롯데마트는 지난 2006년 옥시의 가습기 살균제가 인기를 끌자 생산방식을 그대로 모방해 주문자위탁생산(OEM) 방식으로 생활화확용품 제조업체인 용마산업를 통해 생산한 가습기 살균제품을 시장에 선보였다. 하지만 문제의 독성 화학물질인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PHMG)이 제품 속에 함유되는 과정에서 흡입독성실험 등 제대로 된 안전성 검사는 이뤄지지 않았다.

현재 롯데마트 측은 “출시 전 제품 안전성과 관련한 업무 일체를 D사에 맡겼다”고 주장하는 반면, D사는 “롯데마트로부터 안전성 문제와 관련한 컨설팅을 의뢰받은 바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롯데마트 제품으로 인한 피해자는 사망자 22명을 포함해 61명으로 공식 집계돼 있다.

검찰은 양측을 상대로 제품 안전성 검사의 필요성을 사전에 인지했는지, 제품 출시 전 적정한 수준의 안전성 검사를 했는지 등을 확인해 실제 과실 책임이 어디에 있는 지 등을 가려낼 예정이다.

롯데마트는 지난달 18일 가습기 살균제 사망 사고에 대해 사과하고 피해 보상을 위해 100억원을 보상금으로 지급하겠다는 뜻을 밝힌 바 있다.

한편 옥시의 외국인 전ㆍ현직 임직원에 대한 소환 조사를 시작한 검찰은 이르면 오는 23일 신현우(68ㆍ구속) 전 대표 이후 회사 경영을 책임졌던 한국계 미국인 존 리(48ㆍ사진) 전 대표를 불러 조사할 예정이다.

리 전 대표는 지난 2005년부터 2010년까지 5년 동안 옥시의 경영을 이끌었다. 특히 그가 대표를 맡았던 시기에 살균제 판매가 가장 많이 이뤄진 만큼, 유해성을 알고도 제때 제품 수거나 판매 중단 조치 등을 하지 않아 피해를 키웠다는 책임에서 자유롭지 않을 것으로 관측된다.

양대근 기자/bigroot@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