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정진석-중진 회의, “당수습안 원점에서 재검토”…‘당 주인’만 확인하고 친ㆍ비박 파행은 ‘봉합’국면
[헤럴드경제=이형석ㆍ이슬기ㆍ유은수 기자]‘당의 주인’이 누구인가만 확인한 채 새누리당의 친(親박근혜)ㆍ비박(非박근혜) 갈등이 ‘봉합’ 수순으로 접어들었다. 비상대책위원회와 혁신위원회의 인선 구성을 다룰 전국위원회 무산ㆍ파행으로 분당(分黨) 위기까지 치달았던 새누리당의 내홍이 20일 당내 중진(4선 이상 의원ㆍ당선자)들의 중재로 수습 국면으로 들어섰다.

이날 국회에서 열린 정진석 원내대표 등 원내지도부와 중진들간의 연석회의에서 정 원내대표는 전국위에서 통과가 무산된 혁신위와 비대위 구성안 등에 대해 “원점에서 재검토하자는 생각에 중진 의원들을 모셨다”고 했다. 이날 참석 대상인 중진 18명 중 정갑윤 심재철 원유철 정병국 이주영 나경원 한선교 홍문종 신상진 정우택 이군현 의원 등 11명이 나왔고 서청원 김무성 김정훈 유기준 조경태 최경환 김재경 의원 등 7명이 불참했다. 참석 중진 중에선 친박계가 5명, 비박계가 6명이다. 최경환 서청원 의원 등 친박 핵심도 자리를 하지 않았지만, 정 원내대표는 이미 친박 중진들과도 긴밀히 협의를 해왔던 것으로 알려졌다. 



당내에서는 한때 정 원내대표가 사퇴할 수 있다는 말까지 나왔지만, 친박이나 비박 모두 정 원내대표 체제에 대해서는 ‘신임’하고 지켜보자는 데 일치된 입장이다. 정 원내대표나 홍문표 사무총장 권한대행은 친박이 공개적으로 반대하고 있는 일부 비박계 비대위원들만 제외시킬 수는 없다는 의견을 강조해왔다. 이에 따라 당장 일부 비대위원만 솎아내는 방식은 현실화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비대위원을 추가로 선임해 친ㆍ비박계간 안배를 하든지, 비대위ㆍ혁신위 논의를 아예 원점부터 시작해 위원장으로 외부 인사를 영입하고 재구성하든지 하는 다양한 안이 거론되고 있다.

이같이 ‘봉합’ 수순을 밟게 된 것은 전국위 파행 뒤 탈당ㆍ분당 우려가 커지고 정치권에선 정계개편설이 수면 위로 떠오르자 당 내에선 “더 이상의 파국은 막아야 한다, 이대로 쪼개져선 안된다”는 위기감이 팽배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김무성 전 대표는 전날 당 소속 의원들과 가진 식사자리 후 기자들과 만나 ““그런(분당) 얘기는 하면 안 된다, 그건 우리 국민을 배신하는 일”이라고 말했다. 비박계 핵심 인사는 본지 통화에서 사태가 친박 의도대로 수습된다면 어떻게 하겠느냐는 질문에 “이대로 살아온 게 하루 이틀이냐, 분당이나 탈당이 있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혁신위원장 내정자 자리에서 사퇴한 김용태 의원도 “당내 민주주의를 위해 싸우겠다”고 하면서도 탈당 가능성은 일축했다.

그러나 이번 전국위 파행 사태는 친박이 당 주인이라는 엄연한 사실만 확인시키고 분당 등 파국의 불씨는 남았다는 것이 당 안팎의 대체적인 분석이다. 한 비박계 의원은 “전국위 무산으로 이제 (당운영의) 키는 친박계로 넘어갔다”고 했다. 친유승민계로 분류되는 조해진 무소속 의원은20일 TBS라디오 ‘열린아침 김만흠입니다’에서 “본인(친박계)들이 원하지 않으면 회의 자체를 폐쇄(무산)시킬 수 있다는 걸 보여줬지 않느냐, 전당대회에서도 그렇게 철저하게 (당권을) 잡을 수 있다”고 말했다. 


su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