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與 혁신 백가쟁명] 하태경 “전국위 재소집해 다수결대로”
[헤럴드경제=이슬기ㆍ유은수 기자] 지난 17일 친박(親박근혜)계의 상임전국위원회ㆍ전국위원회 보이콧으로 비상대책위원회와 혁신위원회 출범이 무산된 가운데, 새누리당 내부에서는 다양한 대안들이 ‘백가쟁명(百家爭鳴)’ 식으로 제시되고 있다. 정치권 일각에서 ‘새누리당 분당설’까지 제기되는 가운데, 조속히 내홍을 수습해야 한다는 위기감이 퍼지고 있어서다. 기존 비대위ㆍ혁신위 투트랙 체제 및 인선 유지론부터 비대위ㆍ혁신위 통합 후 외부 비대위원장 수혈론까지 각 대안의 면면을 들여다본다.



▶하태경 “전국위 재소집해 다수결대로”=새누리당내 대표적인 소장파인 하태경 의원은 19일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사태 수습) 방법은 하나다. 전국위를 재소집 해 다수의 의견대로 가야 한다”고 했다. “그것이 민주주의이며, 민주주의는 페어플레이”라는 것이 하 의원의 생각이다. 하 의원은 특히 “(전국위) 불참으로 (혁신안을) 뒤엎을 수는 없다. 그저 지연시킬 뿐”이라며 “정진석 원내대표에게 불만이 있는 분도 모두 참가해 목소리를 높이고 동료를 설득하는 것이 맞다. 그래서 다수가 되면 그분들이 (혁신을) 주도하면 된다”고 강조했다. ‘보이콧’은 합리적인 문제해결 방식이 아니며, 당내 다수인 친박계의 실력행사일 뿐이라는 이야기다.

하 의원은 또 ‘생각이 다르면 당에서 나가라’는 친박계 일부 의원의 발언에 대해 “그런 것이 배신의 정치다. 여당의 마지막 책무는 대통령이 퇴임 후 정치 보복을 당하지 않게 보호하는 것”이라며 “(친박계의 말처럼) 당이 쪼개지면 보호 능력이 그만큼 작아진다. 당이 어떻게든 통합하고 혁신해야 대통령을 퇴임 이후에도 보호할 수 있으므로 당을 쪼개자는 것은 ‘대통령에 대한 배신의 정치’이자 해당적 발언”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yesyep@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