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수면위로 떠오른 ‘정계개편론’…비박계발 탈당ㆍ분당ㆍ창당ㆍ합당론 ‘부상’
-정계개편의 4가지 수

①비박계 개별탈당 ②김무성ㆍ유승민 등을 구심점으로 한 비박계 독자정당 ③정의화ㆍ손학규 등과의 보수ㆍ개혁 연합 ④국민의당과 ‘합당’



[헤럴드경제=이형석 기자]여당인 새누리당의 친ㆍ비박(親ㆍ非박근혜) 계파 간 분열을 계기로 설왕설래하던 정치권의 정계개편론이 수면 위로 떠올랐다. 잠룡들이앞다퉈 발언하면서 백가쟁명 분위기다. 다양한 시나리오가 쏟아지고 있다.

여당인 새누리당에선 ‘분당(分黨)’이 화두고, 정의화 국회의장은 ‘창당(創黨)’을 거론했다. 안철수 국민의당 상임대표는 “비박계를 받을 수 있다”고 했고, 손학규 전 경기도지사는 “새판을 짜는 게 앞장서겠다”고 했다. 이 과정에서 ‘합당(合黨)’ 가능성 등이 거론될 전망이다.

다양한 시나리오의 정계개편론이 돌출됐지만 관통하는 핵심과 본질은 하나다. 방아쇠는 비박계이고, 시발점은 새누리당의 분당이며 기치는 ‘보수ㆍ개혁 연합’이다. 


일단 비박계의 개별탈당 가능성이 거론된다. 특히 4ㆍ13총선에서 여당이 참패한 서울과 수도권 지역에선 “당이 더이상 친박계에 좌우되서는 살아남기 힘들다”는 위기감이 팽배하다. 이들을 중심으로 탈당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안 대표가 “받아들일 수 있다”고 얘기한 이유다.

비박계가 선택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카드는 독자정당이다. 현재 새누리당 내 친박계는 70~80명 정도가 꼽힌다. 혁신에 뜻을 같이하는 비박계 30~40명이 당을 박차고 나오면 국민의당에 이은 제4당의 출현도 가능하다. 관건은 구심점이다. 김무성 전대표와 유승민 의원이 중심에 설 수 있다. 유승민 의원은 전국위 파행 전후로도 혁신파 비박계 의원들과 긴밀한 연락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비박계의 독자세력화가 정의화 국회의장의 제3 정치결사체 구상과 맞물릴 가능성도 있다. 정 의장은 영ㆍ호남 화합과 합리적 보수ㆍ개혁 연합을 줄곧 주장해왔다. 정 의장은 임기가 끝나면 새누리당 당적이 자동복원되지만 이를 거부하고 ‘탈당’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다. 정 의장은 19일 출근길에서 기자들과 만나 “탈당 여부를 생각해야 되겠다”고 했으며, 제 3정치적결사체에 대해선 “두세달 이상 고민을 해보고 10월 쯤 되면 정리가 될 것 같다”고 했다. 여야를 막론하고 끊임없이 부름을 받고 있는 손학규 전 지사도 ‘보수ㆍ개혁 연합론’의 주인공으로 거론돼 왔다.

독자세력화한 비박계 정당이 보수ㆍ개혁 연합을 명분으로 국민의당과 합칠 가능성도 여전히 제기된다. 안 공동대표는 광주 지역 언론 간담회에서 “새누리당과 연정은 없다, 새누리당으로 가지도 않겠다”고 단언했다. 그러면서 새누리당의 탈당 의원은 받아줄 수 있다고 했다. 달리 말하면 현재의 새누리당이 아니라 국민의당과 뜻이 맞는 여권 세력과는 언제든지 손을 잡을 수 있다는 말이다.

한편, 남은 친박은 반기문 유엔총장과 연대하는 방안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su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