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SK머티리얼즈ㆍ日트리케미칼 합작법인 설립…‘프리커서’ 분야 진출
반도체 회로 위 화합물 균일 증착 유기금속화합물 ‘프리커서’
생산ㆍR&Dㆍ판매 등 공동으로…제품 다각화 가능해져



[헤럴드경제=배두헌 기자] SK머티리얼즈가 일본의 트리케미칼과 합작법인(JV)을 통해 ‘프리커서’(Precursor) 분야로 사업확장에 나선다. 프리커서란 반도체 회로 위 여러 화합물을 균일하게 증착하는 유기금속화합물로 반도체의 핵심소재다.

SK머티리얼즈는 “1년 여간의 합작사업 검토를 거쳐 SK머티리얼즈 서울 사무소에서 임민규 대표와 키요시 타즈케 트리케미칼 대표가 참석한 가운데 생산ㆍR&Dㆍ판매를 위한 합작법인 설립 계약을 체결했다”고 16일 밝혔다. SK머티리얼즈는 지난해 SK주식회사가 인수한 반도체 소재 기업이다.

합작법인의 사명은 SK트리켐으로 지분율은 SK머티리얼즈가 65%, 일본 트리케미칼이 35%다. 초기 투자금액은 200억원 규모이며 양사는 프리커서 수요 증가에 맞추어 지속적인 증설 투자를 실행한다는 방침이다.

16일 합작법인 설립 계약을 맺은 임민규 SK머티리얼즈 대표(왼쪽)와 키요시 타즈케 트리케미칼 대표

최근 반도체가 고집적화, 미세화됨에 따라 안정적이고 균일한 박막 형성이 중요해져 프리커서 사용량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프리커서 시장은 연간 7000억원 규모로 평균 영업이익률이 30%에 달해 반도체 소재 중 대표적인 고수익 분야로 알려져 있다.

일본의 트리케미칼은 반도체 제조에 가장 많이 쓰이는 지르코늄계 프리커서를 세계 최초로 양산한 업체로 이 분야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합작법인은 오는 6월 세종시 명학산업단지 내에 프리커서 제조공장을 착공, 내년 초부터 생산을 시작할 계획이다.

또 기존 SK머티리얼즈 외에 트리케미칼의 해외 영업망을 활용해 중국 및 일본, 대만 등 글로벌 시장 확장도 적극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SK머티리얼즈 관계자는 “합작법인 설립 후 차세대 제품 공동 개발을 통해 기존 삼불화질소(NF3) 외에 프리커서 분야에서도 독보적인 기술력을 보유하게 될 것”이라며 “지난 4월 SK에어가스를 인수해 산업가스 사업에 진입했고 이번 프리커서 분야 진출로 종합반도체 소재 기업으로의 성장이 궤도에 오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SK머티리얼즈는 사상 최대 실적 갱신을 이어가며 올해 1분기 973억원의 매출과 344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이는 SK주식회사로 인수되기 전인 전년 동기에 비해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29%, 58% 늘어난 것이다.

SK머티리얼즈는 향후에도 미국과 일본 등 반도체 소재 선도국 업체들과 추가적인 사업 협력관계를 구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badhone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