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힘받는 새누리發 정계개편…非朴 ‘제3의길’ …영호남 연정론
중도보수·합리적 개혁세력 결집
국민의당과 연대說 등 급부상
黨 쇄신안 대립 분당론까지



새누리발(發) 정계개편 가능성이 조심스럽게 언급되고 있다. 총선참패 후 수면 밑으로 가라앉았던 새누리당 내 친박계(親박근혜)와 비박계 사이의 계파갈등이 다시 전면화되면서다. ‘정진석 비상대책위원회체제-외부인사 혁신위원회’의 ‘투트랙’을 골자로 하는 당수습책에 비박계(非박근혜계)는 일제히 제동을 걸고 나섰다. 친박 주도권이 해체되지 않고, 비박계ㆍ소장그룹을 중심으로 거세게 일고 있는 당 전면 쇄신의 요구도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분당(分黨)과 정계개편의 회오리가 불어닥칠 것이라는 전망이 속속 나오고 있다. 비박계ㆍ쇄신파가 당을 쪼개고 나와 국민의당을 포함하는 ‘중도 보수ㆍ개혁세력’과 연대를 모색한다는 시나리오까지 나온다. 

정진석 새누리당 원내대표(오른쪽 두번째)는 12일 오후 서울 여의도 한 중식당에서 상임고문들과 오찬을 갖고 당 쇄신방안에 대한 의견을 구했다. 박해묵 기자/mook@heraldcorp.com

비박, “혁신위원장 공동비대위원장 해야…당ㆍ대권 겸해 대선 조기 레이스”=정진석 원내대표는 자신의 ‘투트랙’ 수습책에 대해 친박 의도대로 가는 것이 아니냐는 비판이 일자 12일 기자간담회까지 열고 “당을 재창조하겠다, 두고보라”며 반박했다. 이에 대해 거물급 여당 인사는 “그게 혁신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 아무도 없다”며 “뻔한 것을 거짓말 하고 있다”고 신랄한 비판을 했다.

비박계도 일제히 반발했다. 하태경ㆍ김영우 의원은 헤럴드경제와의 통화에서 “혁신형 비대위가 총선참패 원인을 규명하고 계파해체방법론을 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하 의원은 “혁신위원장이 (정 원내대표와) 공동비대위원장을 맡아야 하며, 혁신위원은 비대위원을 겸임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당권 노리는 친박 vs 대선 보는 비박=결국 당권ㆍ대권의 향방이 새누리당발 정계개편의 핵심이 될 것으로 보인다. 친박계는 당대표의 대선출마를 제한해 당권과 대권을 분리한 현재 당헌ㆍ당규를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 비박계에선 당권ㆍ대권 분리 규정을 없애자는 입장이다. 여기엔 양 계파의 득실이 달려있다. 친박계는 오는 7~8월로 예상되는 전당대회에서 당권 장악을 노리고 있다. 당권이 대권주자와는 분리돼야 계파별 투표가 이뤄지고, 다수파인 친박계의 의도대로 당대표를 선출할 수 있다는 계산이다. 반면 비박계 한 의원은 “당ㆍ대권 분리 규정이 없어져야 전당대회에서 계파득실보다는 대권 가능성을 두고 당대표가 선출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하태경 의원도 “아직 우리당에 유력 대권주자가 없는 상황에서 전당대회를 통해 조기 대선 레이스를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무성 행보ㆍ영호남 연정론 등 정계개편설 솔솔=새누리당의 20대 국회 당선자 122명 중 친박계는 70~80명정도로 파악된다. 정 원내대표의 ‘당선자 설문조사’ 같은 의견수렴 방식은 결국 다수파인 친박의 주도권을 강화시킬 뿐이고, 그 결과가 ‘비대위-혁신위’안이라는 게 비박계 비판의 핵심이다. 총선참패 원인 규명, 책임자 2선 후퇴, 친박 주도권 해체 및 계파청산, 당ㆍ청 관계 재정립이라는 비박계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결국 새누리당이 분당ㆍ소멸 수순으로 가지 않겠냐는 얘기가 벌써부터 나온다. 정두언 새누리당 의원은 라디오 인터뷰에서 여당발 정계개편 가능성에 대해 “내년(4월) 재ㆍ보궐 선거가 기점”이라며 “그때 새누리당이 희망이 없다고 생각하면 수도권부터 흔들릴 것이다, 그리고 대권 국면에 들어가니까 그 때 여러 변화가 일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보수논객인 전원책 변호사는 11일 한신문 기고문에서 “(이대로 가면)새누리당은 반드시 망한다”며 “박근혜정부가 끝나면 당명도 바뀔 것이고 붉은 색깔도 버려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무성 전 새누리당 대표의 행보도 정계개편의 변수다. 김 전 대표는 한 언론계 행사에서 박지원 국민의당 원내대표와 만나 비공개 담화를 나눈 데 이어 최근엔 잠룡으로 꼽히는 남경필 경기도 지사와 회동해 당현안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민의당에서 지핀 ‘연정론’도 여권발 정계개편을 부추기는 요인이다. ‘중도보수ㆍ합리적 개혁 세력 결집’과 ‘영호남 연정’을 기치로 여권 내 비박ㆍ쇄신파와 국민의당 간의 연대가 모색될 수도 있다는 전망이 정치권에선 끊이지 않고 있다.

결국 공은 정 원내대표에 돌아갔다. 1차 분수령은 오는 17일 새누리당 전국위원회다. 정 원내대표의 비대위원장 추인이 안건이다. 그 전까지 정 원내대표가 혁신위원장 인선 및 권한 문제의 대안을 내놓지 않으면 추인 자체가 부결될 수 있다. 그렇게 되면 당 분열 및 정계개편 속도가 예상보다 빨라질 수 있다.

이형석 기자/su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