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與 하태경 “혁신위장이 공동비대위장 맡아야…당ㆍ대권 통합해 조기 레이스하자”
[헤럴드경제=이형석 기자]여당인 새누리당에서 정진석 원내대표의 당수습책에 대해 비박계의 반발이 전면화되고 있는 가운데, 당쇄신파의 일원으로 꼽히는 하태경 의원이 ‘정진석 비상대책위원회 체제’에 반대해 새로운 안을 내놨다.혁신위원회가 당쇄신의 전권을 갖기 위해서는 혁신위원장이 정진석 원내대표와 공동비대위원장을 맡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혁신위원은 비대위원을 겸해야 한다고도 요구했다.

하태경 의원은 12일 헤럴드경제와의 통화에서 “정진석 원내대표가 혁신위에 당쇄신의 전권을 보장한다고 하지만 그게 말로만 되는 것이 아니다”라며 “당헌ㆍ당규로는 비대위가 최고위를 대신한 최고 의결기구다, 별도기구인 혁신위가 권한을 가질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비대위의 혁신성을 최대한 보강하고 혁신위가 권한을 가지려면 혁신위원장이 공동비대위원장이 되어야 하고, 혁신위원도 당연히 비대위원을 겸해야 한다”고 말했다. 


하태경 의원은 애초 ‘관리형 비대위’가 아닌 ‘혁신형 비대위’를 주장해왔다. 복수의 당 관계자들에 따르면 당선자총회 등을 통해서 혁신형 비대위 안은 ‘비대위+혁신위’ 안과 팽팽한 대립을 이뤘다.

당내 또다른 비박계 소장파 의원인 김영우 의원도 정진석 원내대표의 당수습책에 “혁신의 구심점이 없다, 혁신위가 혁신안만 내고, 비대위가 최고 권한을 갖는 방식으로는 안된다”며 하 의원의 주장에 힘을 실었다.

하태경 의원은 일종의 집단지도체제인 최고위원회제도와 당권ㆍ대권 분리 규정에 대해서도 전면 개선할 것을 요구했다. 하 의원은 “당대표와 최고위원들의 선출은 별도의 선거를 통해서 하는 방향으로 재검토해야 한다”며 “당대표의 단일지도체제로 강력한 권한을 가져야 한다, 당대표 선거 차점자가 최고위원을 맡아 최고위원회에서 동일한 1표씩을 행사하는 체제는 바뀌어야 한다”고도 했다.

당헌당규상에서 당권ㆍ대권 분리 규정도 손봐야 한다는 게 하 의원의 말이다. 하 의원은 “당권ㆍ대권 분리 규정을 폐지해서 유력 대권주자가 없는 우리 당에서 조기 대선 레이스를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당권ㆍ대권 분리 규정이 없어야 잠재적 대권주자들이 당권에 도전할 수 있다는 말이다.

한편, 정진석 새누리당 원내대표의 당수습책이 나온 직후 당내에서는 비박계를 중심으로 반발이 확산되고 있다. “절망감을 느낀다” “희망이 없다” “당의 자정능력이 실종됐다” “영남 지역당으로 전락은 시간문제”라는 얘기가 쏟아지고있다. 총선참패 후 수면 밑으로 가라앉았던 친박계(親박근혜)와 비박계 사이의 계파갈등이 전면화되는 양상이다.

총선참패 원인 규명, 책임자 2선 후퇴, 친박 주도권 해체 및 계파청산, 당ㆍ청 관계 재정립이라는 비박계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계파갈등이 걷잡을 수 없이 번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결국 공은 정진석 원내대표에 돌아갔다. 1차 분수령은 오는 17일 새누리당 전국위원회다. 정진석 원내대표의 비대위원장 추인이 안건이다. 그 전까지 정 원내대표가 혁신위원장 인선 및 권한 문제의 대안을 내놓지 않으면 추인 자체가 부결될 수 있다는 말까지 나온다.



su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