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몰려오는 ‘유커’에 중국어 알바 수요 크게 늘었다
[헤럴드경제=정진영 기자] 우리나라를 찾는 중국인 관광객, 이른바 ‘유커’의 증가와 함께 중국어 아르바이트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운영하는 아르바이트 포털 알바몬(www.albamon.com)이 자사 사이트에 등록된 아르바이트 채용공고를 분석한 결과 최근 5년 간 중국어 가능자를 우대하는 아르바이트 구인 공고가 약 11.4배 증가했다고 9일 밝혔다.


알바몬은 “지난 2012년부터 2016년까지 최근 5년간 1분기에 등록된 채용공고들을 분석한 결과, 올해 1분기에 등록된 전체 아르바이트 공고수는 149만1451건으로 2012년 같은 기간보다 1.7배 가량 증가했으나, 일본어 가능자 우대 아르바이트는 3.5배, 영어 가능 우대 아르바이트는 5.5배, 중국어 가능자 우대 아르바이트는 11.4배가 증가했다”고 전했다.

알바몬의 분석에 따르면 외국어 가능자를 우대하는 아르바이트 공고에서도 일본어 가능자의 수요는 큰 폭으로 줄고 중국어 가능사의 수요는 증가했다. 2012년에 29.5%에 이르던 일본어 아르바이트의 비중은 2016년 17.3%로 12% 포인트가 줄었다. 반면 중국어 아르바이트의 비중은 2012년 17.9%에서 2016년엔 34.2%로 5년새 2배 이상 크게 늘었다. 영어 가능자에 대한 아르바이트 수요는 여전히 높았지만, 2012년 52.6%에서 올해는 48.6%로 소폭 줄었다.

외국어 가능자는 그렇지 않은 구직자보다 높은 급여를 받고 있었다. 실제로 알바몬이 지난 4일 게재된 명동 일대의 매장관리ㆍ판매 알바의 평균시급을 조사한 결과 매장관리ㆍ판매 아르바이트의 시급은 6960원이었지만, 우대조건으로 중국어 가능자를 내세운 매장관리ㆍ판매 아르바이트의 급여는 이보다 평균 500원 가량 높은 7434원으로 조사됐다.

알바몬을 운영하는 잡코리아의 이영걸 상무는 “과거 외국어를 채용조건으로 내세우는 아르바이트는 통역, 번역, 자료조사 등 일부 직무에 그쳤으나 한류 열풍 이후 ‘유커’ 등 외국인 관광객의 한국 방문이 증가하면서 매장관리, 서비스, 판매, 서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외국어가 가능한 아르바이트생을 우대 채용하려는 움직임이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123@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