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與 권력재편 ‘시동’…5대 쟁점은
[헤럴드경제=이형석 기자]정진석 신임 원내대표의 선출과 함께 여당인 새누리당의 권력재편이 ‘시동’을 걸었다. 일단 지도부공백 상태에서 벗어나 당 체제 정비의 스타트를 끊었다. 정 원내대표 체제는 비상대책위원회 구성으로 차기 권력구도의 윤곽을 드러낼 전망이다. 이후 전당대회 시기 결정과 당대표 선출 등을 거치면 내년 대선까지의 권력재편구도가 가시화될 것으로 보인다.

이후 새누리당의 권력재편에서 쟁점은 크게 5가지 정도가 꼽힌다. ▷총선참패 후유증 ▷ 비대위원장 인선 ▷탈당 당선자들의 복당 ▷ 친박 당권도전 ▷ 비박ㆍ쇄신파의 대응 등이다.

먼저 정진석 원내대표 체제가 총선참패 후유증을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다. 일단 총선 참패 후 최고위원 일괄사퇴-원유철 비상대책위원회 체제 무산 등으로 이어졌던 당권 공백 사태는 신임 원내대표 선출로 마무리됨으로써 ‘책임론’은 수면밑으로 가라앉을 가능성이 크다. 각 계파가 정 원내대표 체제에 힘을 실어주자는 분위기가 형성됐기 때문이다. 그러나 총선참패 후 ‘친박책임론’이나 ‘2선후퇴론’은 가부간의 명확한 결론 없이 봉합됐다. 얼마든지 갈등의 불씨가 될 수 있다는 말이다. 



비대위원장 인선과 비대위의 성격도 향후 권력재편의 핵심적인 변수로 꼽힌다. 이르면 오는 6월로 예상되는 전당대회까지만 한시적으로 당 운영을 책임질 ‘관리형’이냐 당쇄신의 전권을 행사할 ‘혁신형’이냐가 쟁점이다. 경선과정에서 나경원 의원은 ‘혁신형 비대위’를, 유기준 의원은 ‘관리형 비대위+쇄신특위’를 내세웠지만, 정 원내대표는 “의견을 수렴해 결정하겠다”며 입장을 유보했다. 경선 전에는 비대위원장을 “전당대회까지의 역할을 맡는 것”이라며 “신임원내대표가 겸직할지, 새롭게 영입할 지 논의를 거쳐야 할 사안”이라고도 했다. ‘관리형’쪽으로 무게가 쏠린다. 친박계로서도 ‘관리형 비대위’를 구성한 후 전당대회를 최대한 늦추는 것이 총선 참패 책임론으로부터 벗어나 당권ㆍ대권 도전에 보폭을 넓힐 수 있다는 얘기가 당 안팎에서 나온다.

탈당 당선자들의 복당 문제도 여전히 뇌관이다. ‘무조건 일괄 복당’과 ‘선별적 순차 복당’ 사이에서 계파간 이해가 엇갈린다.

친박계의 당권도전은 비대위 구성 및 전당대회 시기와 맞물린 변수다. 최경환, 이정현, 홍문종 의원(당선자) 등 친박계 중진의 당권도전 구도와 친박계 의원들의 결집 또는 분화 양상이 핵심이다. 친박 좌장인 최경환 의원의 경우 원내대표 경선에서 친박계 후보들의 출마를 만류하며 자숙 분위기를 이어갔지만, 당권과 대권 도전을 놓고 저울질하고 있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호남에서 3선에 성공한 친박계 이정현 의원은 일찌감치 당권도전을 선언했고, 홍문종 의원은 “(출마)한다는 가능성을 포함해서 모든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비박ㆍ초선ㆍ당쇄신파의 목소리도 주목거리다. 일단 원유철 전임원내대표의 비상대책위원장 체제를 저지시키며 당쇄신 기치를 내걸었던 새누리혁신모임(이하 새혁모)이 향후 비대위 구성 과정에서 다시 본격적인 목소리를 낼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융합혁신경제포럼(가칭)’을 창설하는 등 출격 준비에 나선 비례대표 당선자 모임도 쇄신의 한 축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원내대표 경선에서 정진석 당선자에게 승리를 내줬던 나경원 의원을 비롯해 비박의 구심점이 누가될지, 향후 비대위 구성과 당권 경쟁에 어떤 역할을 할지도 관심사다.



su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