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꼼수? 아니면 개선?…물가 올리려 소비자동향지수 품목 바꾼 日
[헤럴드경제=문재연 기자] 일본 은행이 가정의 소비 지출 동향을 지수화한 ‘가계조사’ 대신 개인소비 성향을 보다 세밀하게 파악한 ‘소비활동지수’를 공표하겠다고 발표했다. 소비자 물가지수(CPI)를 산출할 때 ‘가계조사’를 근거로 대표 품목의 상대적 중요도(가중치)를 측정하는 만큼, 물가상승률을 높이기 위한 꼼수가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일본 은행은 2일 새로운 식료품과 자동차 등 제품과 서비스의 소비를 반영하는 통계를 경제지표로 만들어 오는 13일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그래프=일본 새 소비활동지수]

일본 은행은 개인 소비 동향을 나타내는 주요 통계인 ‘가계 조사’가 노인에 치우쳐져 있어 소비 실태가 정확히 반영되지 않는다는 점을 고려해 독자적인 경제지표를 개발하겠다고 밝혔다. 새로운 지표인 ‘소비활동지수’는 식료품 및 자동차 등 42개 품목의 상품이나 서비스의 판매 상황을 종합해 만든 통계 지표다.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ㆍ니케이)신문은 ‘소비활동지수’가 총무성의 가계조사를 대체하는 지표로서 향후 일본 경기판단이나 정책운영에 반영하는 데 쓰일 예정이라고 전했다.

새로운 소비지표가 될 소비활동지수는 실제로 높은 정확성을 보일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일본은 2014년 4월 소비세 인상이 이뤄진 이후 소비 침체가 두드러졌다. 닛케이는 서비스 분야에서 스마트 폰, 통신료와 의료 등의 소비가 급증했지만, 내구재나 비내구재에 대한 소비는 반등조차 하지 않고 있다고 분석했다. 닛케이는 새 지수가 2017년 4월 소비세 인상이 끼칠 영향을 파악하는 데에 정밀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반면, 일본 물가상승률을 높이기 위한 꼼수라는 지적도 나온다. 소비 활동지수는 가계의 가계부 기입방식을 기초로 산출되지 않고, 공급 측면을 중심으로만 산출되기 때문이다. 기존 가계조사의 노인 및 전업 주부의 소비성향을 지나치게 반영하고 있다는 단점을 보완한 반면, 각 품목의 판매동향을 토대로 개개인의 소비 동향을 측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내구재와 비교해 소비증가폭이 높지 않은 생필품 등 비내구재의 가중치가 지나치게 낮게 적용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일본은행은 국내총생산(GDP)의 속보치와 확보치를 계산하는 데에도 새로 마련하게 될 소비활동지수를 사용하겠다고 밝혔다. 개인의 소비는 GDP의 60%를 차지한다.

일본 은행에 따르면 지난 2014년 GDP 확보값을 기반으로 실질적인 개인의 소비는 2010년 대비 2.6% 상승했다. 소비 활동지수도 2.6% 상승했지만 가계조사는 실질 소비지출이 0.2% 감소했다고 나왔다. 구로다 하루히코 일본은행 총재가 실제적인 소비는 조금씩 오르고 있다고 주장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한편, 일본은행은 지난 2014년 가을부터 “신선식품(주류 제외) 및 에너지를 제외한” 자체적인 물가지수를 공표하고 있다. 유가의 급락이 CPI 측정에 큰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 일본은행은 “정확한 물가 기조를 파악하기 위해 새로운 척도가 필요하다고 판단했다”고 이유를 설명했지만 이 역시 물가 지수의 하락세를 제한하기 위한 꼼수가 아니냐는 지적을 받았다.

/munja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