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무엇만 가득하고, 어떻게는 없었다”…트럼프식 ‘美 우선주의’에 우방국은 ‘덜덜덜’
[헤럴드경제=이수민 기자]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를 외치며 ‘미국 우선’의 고립주의 외교 정책을 주장한 도널드 트럼프의 연설에 우방국 사이에서 불안감과 반발이 일고 있다. 미국 내에서도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비판이 잇따르고 있다.

28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프랭크-발터 슈타인마이어 독일외교장관은 27일 트럼프가 연설을 통해 주장한 외교 정책 방향에 대해 현실성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세계의 안보 구조는 변했고 더 이상 (냉전 시기와 같이) 양분돼 있지 않다. 일방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며 “‘미국 우선주의’는 답이 아니다”고 말했다.

칼 빌트 전 스웨덴 장관이자 외무장관은 트럼프의 연설에 대해 “민주주의 동맹국와 민주주의적 가치를 모두 훼손하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트위터를 통해 트럼프가 버락 오바마 행정부의 이집트 민주화 지지에 대해서는 거센 비판을 가했으면서 우크라이나에 대한 러시아의 도발에 대해서는 한 마디도 하지 않았다고도 꼬집었다.



영국 BBC방송의 북미 담당 편집인인 존 소펠은 “트럼프의 비전은 명확했지만 그것을 어떻게 현실화할지는 그리 명확하지 않았다”며 “트럼프의 외교 정책에는 ‘무엇’(what)만 가득하고 ‘어떻게’(how)는 몹시 부족했다”고 말했다.

최근 방위비에 대한 트럼프의 날선 공격은 불안감을 증폭시키고 있다. 트럼프는 나토의 방위비 분담에 대해 “28개 회원국 가운데 4개국만이 최소 요구조건인 국내총생산(GDP)의 2%만을 지급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구체적인 수치까지 제시하며 불만을 드러내 왔다.

공격 대상에는 한국도 포함돼 있다. 트럼프는 연설에서 만약 자신이 대통령이 되면 곧바로 유럽 및 아시아 동맹들과 방위비 재협상을 벌이고, 적정 방위비를 분담하지 않는 동맹에 대해서는 주둔 미군을 철수하거나 ‘핵우산’ 제공을 거둬들이는 방안을 검토할 것이라는 뜻을 밝혔다. 그는 대선 출마 직후부터 삼성이나 LG전자의 TV를 거론하며 한국이 부유한 나라임에도 방위비는 적게 내고 있다며 한국의 부담금을 늘려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

트럼프의 주장에 미국 내에서도 현실성이 결여돼 있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NYT는 ‘트럼프의 이상한 세계관’이라는 제목의 사설에서 “자신이 경험이 부동산 거래에만 한정돼 있는 사람에게는 모든 것이 임대 거래처럼 보인다”고 꼬집었다. NYT는 “트럼프는 자신이 협상법을 잘 알고 있다고 말하지만 그의 협상방식은 외교 정책에서는 통하지 않는다”고 썼다. 일간 USA투데이도 사설에서 “트럼프의 세계관에서는 그가 말하는 대로 일이 진행된다”며 트럼프가 별다른 근거도 없이 “내가 대통령이 되면 IS는 아주 신속하게 사라질 것”이라고 말한 것을 거론했다. 힐러리 클린턴을 지지하는 매들린 올브라이트 전 국무장관도 트럼프의 연설 이후 기자들에게 “트럼프는 동맹국의 신뢰를 회복하자고 하면서 동맹국을 협박하고 있다”고 말했다.



smstor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