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벌써 트럼프 대통령?…트럼프에 줄 서고, 내각 하마평까지
[헤럴드경제=신수정 기자]미국 공화당 의원들이 도널드 트럼프에 줄을 서기 시작했다. 심지어 “트럼프는 워싱턴 정가가 꼭 필요한 사람”이라고 추켜세우는 이들도 나오고 있다. 불과 얼마전까지만 해도 “트럼프는 안된다”며 비토를 놓던 이들이 하루 아침에 마음을 바꾸고 있는 것. 이에 따라 공화당 주류 진영의 ‘반(反)트럼프 연대’에도 심각한 균열이 생기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빌 슈스터(펜실베이니아) 하원 교통ㆍ인프라위원회 위원장과 제프 밀러 하원 재향군인위원회 위원장은 28일(현지시간) 성명을 내고 트럼프에 대한 지지 입장을 공개로 밝혔다. 이로써 트럼프 지지를 선언한 연방의원은 트럼프 캠프의 외교ㆍ안보 수장을 맡은 제프 세션스(앨라배마) 상원의원을 포함해 총 11명으로 늘어났다.

슈스터 의원은 이날 성명에서 “트럼프는 일을 어떻게 처리할 줄 아는 민간 지도자로, 워싱턴 정가가 절실히 필요로 하는 인물”이라면서 “아울러 트럼프는 인프라 시설을 국민의 요구에 맞게 개선하는 등 경제개발에 관한 열정 역시 나와 같다”고 강조했다.




미 의회전문지 더 힐(The Hill)에 따르면 두 사람 외에도 마이크 켈리(펜실베이니아) 하원의원도 얼마 전 치러진 펜실베이니아 경선에서 트럼프를 지지했다. 켈리 의원은 다만 공식적으로는 7월 공화당 전당대회에서 투표를 통해 트럼프를 지지하겠다는 의사를 보였다.

특히 최근 폴 라이언(위스콘신) 하원의장 대선후보 추대론을 처음으로 꺼냈던 존 베이너(오하이오) 전 하원의장 역시 트럼프에 대한 지지 가능성을 공개으로 언급했다.

스탠퍼드대 교내 신문 스탠퍼드 데일리에 따르면 베이너 전 의장은 전날 이 대학에서 데이비드 케네디 명예교수와 대담하면서 “트럼프와 여러 해 전부터 함께 골프를 쳐 왔고, ‘문자메시지를 주고받는 사이’(texting buddies)”라고 밝힌 뒤 트럼프가 대선 후보가 될 공산이 크며, 그럴 경우 트럼프에게 투표하겠다는 의사를 나타냈다.

베이너 전 의장은 또 테드 크루즈 상원의원에 대해선 “육체를 입은 루시퍼”(악마ㆍLucifer in the flesh)라고 혹평했다. 그러면서 “나는 민주당 친구들도 있고 공화당 친구들도 있다. 나는 거의 모든 사람과 잘 지내지만, 내 평생 그보다 더 심한 XXX(son of a b****)와는 함께 일해 본 적이 없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일각에선 벌써부터 ‘트럼프 내각’ 하마평도 나오고 있다.

‘법무장관은 크리스 크리스티 뉴저지 주지사, 에너지부 장관은 세라 페일린 전 알래스카 주지사, 보건복지부 장관은 신경외과의사 출신의 벤 카슨’ 이런 식이다. ‘기업 사냥꾼’ 칼 아이칸 역시 재무장관 1순위로 꼽힌다. 아이칸은 “워싱턴의 꽉 막힌 정치를 때려 부술 사람”이라며 트럼프 지지를 선언한 데 이어 뉴욕경선을 돕기도 했다.

하마평에 오르는 사람들은 트럼프를 지지한 정치인과 대선 경쟁자에서 지지자로 변신한 이들, 기업 경영자, 심지어는 민주당 측 인사들이다. 더 힐에 따르면 이들의 공통점은 자기 분야의 승자라는 점이다. 트럼프는 최근 대통령이 되면 어떻게 내각을 꾸릴 것이냐는 질문에 “자기 분야에서 가장 똑똑하고 성공적인 사람을 찾으려 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런 가운데 공화당에 대한 미국인의 호감도는 24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퓨리서치센터 여론조사(4월12∼19일ㆍ2008명) 결과 공화당에 대한 호감도는 33%에 그쳤으나 비호감도는 무려 62%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가을 조사 때에 비해 호감도는 4%포인트 떨어지고 비호감도는 4%포인트 올라간 것이다.

퓨리서치센터는 “공화당에 대한 비호감도는 1992년 이후 최고치”라면서 왜 이런현상이 나타났는지 정확하지는 않지만, 트럼프의 여성-인종차별 발언 등 각종 논란성 언행과 더불어 이전투구로 치달은 공화당의 경선과정 등이 한 요인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ssj@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