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총선 후 첫 수요집회, 당선인ㆍ국회의원 아무도 오지 않았다
[헤럴드경제=구민정 기자] 20대 국회의원 선거 이후 처음으로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수요집회가 열렸지만 20대 국회의원 선거 당선인과 19대 현역 국회의원 중 참석한 사람은 단 한명도 없었다.

20일 오후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제 1227차 수요시위에는 총선 이후 열린 첫 행사였음에도 불구하고 정치권 인사는 한 명도 참석하지 않았다. 이는 총선 전이던 지난 연말 및 올 초 4~5명의 국회의원들이 수요시위에 참석해 적극적으로 발언을 하던 것과는 사뭇 비교되는 결과다.

지난 13일에 치러진 제 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많은 정치권 인사들은 12ㆍ28 ’한일 위안부 합의‘를 둘러싸고 전면 무효와 정부의 위안부 문제 해결을 촉구했었다. 더불어민주당은 위안부 합의 철회 공약을 내세웠었고, 국민의당도 대통령과 정부에 12·28 합의의 원천 무효 선언을 할 것을 주장했다. 정의당도 ‘위안부 합의’ 청문회를 실현하기 위해 20대 국회 첫번째 안건으로 ‘위안부 합의’ 청문회와 재협의를 추진할 것을 약속한 바 있다.


윤미향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이하 ‘정대협’) 대표는 “수요집회에 대한 신경을 덜 써서 오늘 당선자들 의원들 아무도 안 온 것 같다”며 “그래도 관심있는 후보들과 의원들이 많았기 때문에 20대 국회에 거는 희망과 기대가 크다”고 말했다. 윤 대표에 이어 마이크를 잡은 위안부 피해자 김복동 할머니도 “이번 총선에서 우리가 이겼다”며 “새 국회가 들어섰으니깐 우리들 앞에 앞장서 해결해주리라고 믿는다”고 밝혔다.

정대협 관계자와 할머니 외에도 이날 수요집회에는 많은 대학생들과 종교인, 시민들이 참석해 새로 꾸려지는 20대 국회에 대한 희망을 나타냈다. ‘청소부 국회의원’으로 유명한 홍희덕 전 의원도 “정부가 지금까지 저지른 적폐를 보고 바로 세우려고 국민들이 선거에서 민의가 표출된 것”이라며 “더민주당, 국민의당 그리고 정의당까지 야권 3당이 12.28합의를 무효화 시키는 데 정말로 진실되게 임해야 한다”며 정치권의 움직임에 대한 기대를 드러냈다.

한편 제 1227차 수요집회 참석자들은 12.28 합의의 전면 무효화, 한국정부의 위안부 문제 자료 전면 발굴 및 공개, 일본정부의 위안부 범죄사실 인정 및 국가적 책임 위한 입법을 조속히 제정할 것 등을 주장했다.

korean.gu@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