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심장질환의 종착역 ③] 해외 비해 심부전 관리 인프라 턱없이 부족
realfoods

[헤럴드경제=이태형 기자] 최근 심부전 환자가 증가세를 보이고 있지만, 이들을 치료하기 위한 인프라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다. 특히 해외와 비교하면 인프라 구축이 시급해 보인다.

미국 CMS(Center for Medicare and Medicade Service)의 만성 심부전 환자를 대상으로 한 심장재활 프로그램은 2010년부터 건강보험급여혜택이 적용되고 있다. 의사 처방 운동요법, 심장질환 위험요인 조정, 사회심리적 평가 및 결과 평가를 포함한 내과 주관의 심장재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개별 환자를 대상으로 한 맞춤형 프로그램에는 환자 진단에 대한 처방, 치료 계획에 따라 제공되는 서비스의 유형, 종류, 양, 빈도 기간에 대한 특정, 치료 목표를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캐나다는 2009년 연방 기금 지원을 받아 의료계, 민간 재단 및 정부 연구기관 등 이해 관계자들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위원회와 6개 워킹그룹을 구성해 심장질환에 따른 사회적 부담 감소와 심장질환의 예방과 관리를 위한 국가 차원의 종합적인 전략과 실행방안을 수립해 시행하고 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특히 위원회는 심장질환 관련 분야에서 유별률, 입원율, 사망률 감소 등 총 11개 항목을 2020년까지 달성가능한 비전으로 정부에 제시했다.

스코틀랜드에서는 심장 질환 관련 6개 우선순위 가운데 심부전이 포함돼 있다. 전체적인 시스템 개발을 통해 심부전 환자들의 치료와 질환 관리 경로를 개선하겠다는 의지를 발표하기도 했다.

이에 반해 국내 심부전 치료를 위한 인프라는 손 봐야 할 곳이 많다. 정욱진 대한심장학회 심부전연구회 총무이사는 “환자와 진료비 증가는 개인 부담을 키우고 있는 만큼 심부전에 대한 국가적 차원의 체계적 지원과 관리가 필요하다”며 “의ㆍ민ㆍ관 합동관리위원회 구성과 실행 방안을 수립하는 한편, 재입원율 감소를 위해 심장재활프로그램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 총무이사는 “국내 심부전에 대한 데이터를 축적하기 위해 계속적인 국가등록사업과 지역ㆍ연령별 코호트 사업 지원, 질환 규명ㆍ신약ㆍ의료기기 개발에 대한 연구 지원도 요구된다”며 “이밖에도 급성기질환 치료를 지원하는 권역심뇌혈관센터 사업과 병행해 심부전관리를 위한 권역심부전관리센터 지정과 지원도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th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