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구룡마을 임대ㆍ분양 구분 못하게 같은 동에 배치한다
-서울시, 분리에서 변경…양재대로변은 고층 개발
-2개 단지는 민간 매각…내부 구성 국제현상 공모


[헤럴드경제=강문규 기자]서울 강남구 개포동 구룡마을이 임대와 분양을 구분할수 없는 혼합 방식으로 개발되고 양재대로변에 고층 아파트가 들어서게 된다.

구룡마을 4개 단지는 SH공사가 직접 건설하고 2개 단지는 민간에 택지 매각하는 방안이 검토 된다. 종전에는 3개 단지는 임대, 3개 단지는 분양으로 분리하는 방식이었다. 또 획일적인 판상형 중고층 아파트를 짓는 계획에서 변경됐다.

구룡마을 조감도.

서울시는 구룡마을 개발계획안을 거주민 재정착과 커뮤니티 활성화를 목적으로 변경해 강남구와 협의를 완료하고 7일부터 주민공람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토지이용계획은 기존 지형을 입체적으로 고려해 도로, 공원 등의 도시기반시설과 주거단지를 배치했다. 재활용센터, 마을공방, 공동작업장, 공공복합시설 등의 주민공동이용시설을 공유거점으로 활용해 거주민의 일자리와 자립경제를 지원하고 커뮤니티를 활성화 할 수 있도록 했다.

시는 거주민 재정착과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해 ‘소셜믹스’ 원칙을 반영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4개 단지를 SH공사가 직접 건설해 아파트 각 동 내에서 공공임대세대와 공공분양세대를 혼합배치한다. 2개 단지는 민간에 택지를 매각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건축계획도 획일적인 판상형 중고층 아파트 건축계획에서 도시경관을 고려한다. 양재대로변은 도시대응형 고층개발, 대모산과 구룡산 인접지역에 자연대응형 저층개발로의 변화가 특징이다.

도시개발구역 경계는 변화가 없다. 다만 토지이용계획안이 당초 공람내용과 달라졌기 때문에 개발계획 결정절차를 진행하기에 앞서 주민과 관계전문가에게 알리고 의견을 수렴하는 차원에서 주민공람을 다시하기로 했다는 게 서울시의 설명이다.

서울시는 이번에 공람된 내용은 결정절차 진행과정에서 수정될 수 있으며, 관계기관 협의와 도시계획위원회 심의 등의 절차를 최대한 신속하게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 구체적인 내부 구성을 위해 구룡마을 개발 방안 국제현상 공모를 추진할 방침이다.

구룡마을 개발계획은 무허가 판자촌 약 1100가구가 밀집한 개포동 구룡마을 일대 26만 6304㎡를 개발ㆍ정비하는 사업이다. 그러나 개발방식(일부 환지계획)을 놓고 서울시와 강남구가 대립끝에 지난 2014년 8월 도시개발구역 지정이 해제돼 사업이 취소됐었다. 그러나 2014년 11월 대형화재를 계기로 논의를 재개해 강남구가 주장하는 100% 공공개발방식으로 결정됐다.

한편 강남구는 “구룡마을 개발방식 이견으로 3년간 이상이 지연됐다”며 “2018년 1월에 착공해 2020년 말까지 준공한다는 사업추진 일정을 줄일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mkka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