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中정부 "‘태양의 후예’ 선전말라"...사실상 '시청자제' 지시
[헤럴드경제] 반도를 넘어서 대륙을 장악한 드라마 ‘태양의 후예’ 신드롬에 중국 당국이 제동을 걸고 있다.

중국의 방송통신위원회 격인 광전총국은 최근 방송사와 인터넷 동영상 사이트 등에 “태양의 후예를 띄우지 마라”는 지시를 내린 것으로 전해졌다.

4일 중국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공개된 광전총국 ‘선전지시’는 태양의 후예를 직접 언급하며 “이러한 상업 드라마를 지나치게 선전해 시청자들이 맹목적으로 빠져들게 해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중국 당국이 한류 드라마, 그것도 인터넷에서만 방영하는 드라마를 겨냥해 이런 지시를 내리기는 이례적이다. 문화 선진국을 표방하고, 미디어 산업을 육성 중인 중국 정부가 한류 드라마 신드롬에 위기의식을 가진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광전총국은 중국 내 수천 개 방송과 인터넷 미디어를 감독하는 막강한 기구로, 앞으로 중국에서 ‘태양의 후예’ 인기에 어떠한 영향을 줄 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한편 중국에서 ‘태양의 후예’는 5일 기준 20억건에 달하는 뷰를 기록, ‘별그대’의 기록을 이미 넘어선 상태다.

뿐만 아니라 드라마에서 송혜교가 사용한 아무레 퍼시픽 화장품과 온유가 착용한 다니엘 웰링턴 시계 등도 날개돋친듯 팔려나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태양의 후예 공식 스트리밍 사이트인 아이치이(愛奇藝)는 드라마 방영 중에 관련 상품 광고를 노출시키는 전략으로 대박을 터뜨렸다. 유료 회원에게서 받는 시청료에 더해 관련 소품 판매로 부수입까지 챙기고 있다.

‘태양의 후예’는 직접적으로 1000만 영화 적어도 두 편 이상 매출액을 기록했다. ‘태양의 후예’는 방송 시작에 앞서 130억에 이르는 제작비를 모두 회수했다. 국내에서는 KBS에 방영권을 40억원에 판매했으며, 중국의 동영상 플랫폼 아이치이 선판매로 약 48억원, 일본 판매 약 19억원, PPL(간접광고) 30억원 등만해도 137억원에 달한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