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이웅열 코오롱 회장, 1박2일 현장경영 “초연결시대 혁신해야”
[헤럴드경제=오연주 기자] 이웅열 코오롱그룹 회장이 17~18일 양일 간 1300km를 이동하며 지방사업장에서 현장경영을 진행하고 있다.

17일 코오롱에 따르면 이번 현장경영은 전국 5개 사업장을 돌며 제조, 건설, 패션, 서비스 등 사업 전반에 걸친 초연결시대 첨단기술 도입 현황 및 계획을 살피는 일정으로 진행됐다. 이 회장은 특히 ▷스마트 팩토리 등 인더스트리4.0 도입을 통한 생산 혁신 ▷온라인 플랫폼 구축과 빅데이터 활용을 통한 유통 및 서비스 혁신 등을 강조했다.

현장경영에 나선 이웅열 코오롱그룹 회장이 17일 오후 전남 완도군 신지도와 고금도를 연결하는 장보고대교 건설현장을 방문해 코오롱글로벌 임직원들을 격려하고 현장을 둘러보고 있다.

17일에는 수첨수지 세계 최대 생산규모를 자랑하는 코오롱인더스트리 여수공장을 방문했다. 이 공장은 부지 확장 등 대규모 설비투자 없이 공정 개선만으로 생산량 증대에 성공한 곳이다.

이 회장은 “여수공장은 공정 효율을 높이기 위한 고민과 혁신을 반복해 세계적인 사업장으로 거듭났다”며 “효율성에 초점을 두고 인더스트리4.0을 적극 도입하면 생산시설 경쟁력이 한층 강화돼 우리가 초연결시대 리더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라 말했다. 위생재 소재 등으로 활용되는 수첨수지는 코오롱인더스트리가 국내 유일한 생산업체이며 생산량은 9만톤에 달한다.

이어 18일에는 코오롱인더스트리 구미공장에서 스마트 팩토리 실현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강조할 예정이다. 이 공장에선 현재 코오롱그룹 정보기술(IT)서비스 계열사인 코오롱베니트가 지난해부터 스마트 팩토리 사업을 시범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코오롱베니트는 향후 IT 인프라를 총망라해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 사업을 확대해갈 계획이다. 이와 관련해 이 회장은 구미공장의 도전이 초연결시대에 그룹의 미래를 결정하는 결정적 기회가 될 것이라고 강조할 것으로 전해졌다.

또한 구미공장에서는 미래 혁신소재 개발 현황도 꼼꼼히 살필 예정이다. 이 공장은 작년 5월 듀폰과의 소송 종결 후 세계시장 공략에 나선 아라미드 섬유 ‘헤라크론’을 생산하고 있다. 아라미드 섬유는 같은 무게의 강철보다 5배나 강도가 높고 섭씨 500℃에서도 타지 않는 뛰어난 내열성을 자랑하는 고강도 수퍼섬유다. 세계 시장점유율 3위인 ‘헤라크론’은 작년 소송 종결 이후 7월부터 흑자로 돌아서며 사업에 가속도가 붙고 있다. 이 회장은 ‘헤라크론’을 비롯해 미래 혁신소재로 기대되는 폴더블 윈도우 필름 등 신규 아이템 개발 및 생산 현황을 확인한다.

앞서 17일 코오롱글로벌 BMW 광주 A/S센터를 찾은 이 회장은 빅데이터를 활용해 고객서비스 수준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방안을 마련하자고 밝혔다. 이날 전남 완도군 장보고대교 건설현장 방문에서는 직접 배를 타고 공사 중인 교량의 30m 상공 상판으로 이동해 현장을 꼼꼼히 살피고 현장 직원들을 격려했다.

아울러 18일 이번 현장경영의 마지막 방문처인 코오롱인더스트리FnC 경기도 동탄 물류센터에선 온라인 플랫폼 구축을 통한 유통 혁신 필요성을 강조할 것으로 전해졌다.

이 회장은 올해 신년사에서 경영지침으로 제시한 ‘커넥처(Connecture) 2016’ 실현을 다시 한 번 강조하면서 “미래의 변화를 주도하기 위해서 각자 역할과 책임을 다하고 협업하면서 초연결시대 혁신기술을 사업에 적용, 실행한다면 코오롱은 미래와 성공적으로 연결될 것”이라고 밝혔다.

oh@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