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부산시, 안전하고 행복한 고령친화도시 만들기 추진, ‘2016년 촘촘한 그물망 노인보호대책’ 마련,
[헤럴드경제=윤정희(부산) 기자] 지난해 부산에서 발생한 노인학대 사건은 총 340건. 학대행위는 주로 자녀 등 가족에 의한 것이 가장 많았고, 학대유형으로는 정서적 학대, 신체적 학대, 방임, 그리고 노인 스스로 자신을 포기하는 자기방임 순이었다.

부산시는 고령친화도시를 만들기 위해 ‘2016년도 촘촘한 그물망 노인보호대책’을 본격 추진한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노인보호대책은 우리 사회에 노인학대가 빈발함에 따라 노인에 대한 보호체계를 강화해 ‘어르신들이 안전하고 행복한 고령친화도시’를 만들기 위한 것으로, 주된 내용은 노인학대 사례의 신속한 처리를 위한 관리체계 구축, 노인학대 예방을 위한 인식개선사업 실시, 지역사회와의 협력을 통한 노인복지서비스 제공 등 노인의 안전을 위한 시책들이다.

신속한 노인학대 신고를 위해 24시간 신고전화를 가동한다. 노인학대 사례를 발견한 시민은 누구나 신고전화(1577-1389)를 통해 노인보호전문기관에 신고할 수 있다. 그 밖에 노인보호전문기관 홈페이지(부산시 서부노인보호전문기관 http://1389.bulgukto.or.kr, 부산시 동부노인전문기관 http://bs1389.or.kr)를 통해 연중 24시간 신고 및 상담이 가능하다.

신고된 내용은 노인보호전문기관별로 자체회의를 통해 사례판정을 실시하고, 자체 사례판정이 어려운 경우 사례판정위원회 심의를 거쳐 판정하게 된다. 위원회는 객관성 확보 및 전문성 향상을 위해 의료, 법률, 관계공무원, 교수 등 전문가 6인 이상으로 구성된다.

현재 부산시에는 노인보호 사업을 전문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기관으로 동부노인보호전문기관과 서부노인보호전문기관이 있으며 학대피해노인을 일시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학대피해노인 쉼터가 별도로 운영되고 있다.

학대피해노인 쉼터는 피해노인 일시보호와 치료, 신체ㆍ정서적 서비스 지원으로 학대후유증을 극복하도록 돕는 다. 보호기간은 3개월 이내, 부득이한 경우 1개월 연장 가능하다. 학대피해노인 보호 양로시설도 운영하고 있다. 쉼터 보호 후, 가정으로의 복귀가 어려운 경우, 양로시설에 보호해 피해노인을 전문적으로 보호한다.

노인학대 예방을 위한 인식개선사업으로는 우선 TV, 라디오, 신문 등 다양한 홍보매체를 통한 홍보활동으로 노인학대에 대한 사회적 인식 확산 및 노인 차별 해소를 도모한다. 또한 노인보호전문기관 자체 노인학대 예방 캠페인 시 16개 구ㆍ군과 연계하여 실시토록 했다.

올해 ‘세계 노인학대 인식의 날(매년 6월15일)’을 맞아 노인학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높이기 위하여 기념식, 세미나, 특별공연 등 다채로운 행사를 실시한다. 또 노인의 날(10월2일)과 경로의 달(10월)이 속하는 10월에 각 기관 자체 실정에 적합한 노인학대 예방 캠페인을 실시키로 했다.

부산시 관계자는 “이번 노인보호대책은 노인보호전문기관 뿐만 아니라 구ㆍ군과 읍면동, 법률기관, 의료기관, 복지시설 등 지역사회 자원과의 협력을 통해 우리 사회의 노인보호 체계를 강화해 고령친화도시로서의 위상을 정립하고 아울러 노인학대 사례 발생 시 신속하고도 촘촘한 그물망 대책으로 어르신들이 행복한 도시를 만들기 위한 것이다”고 말했다.

cgnh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