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서울 1인가구 비중 36%…관련 조례안 나왔다
-시 실태조사후 복지 종합 지원 정책 수립해야


[헤럴드경제=강문규 기자]서울시 1인 가구의 비중이 36%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서울시의회가 복지 증진을 위한 종합정책이 마련하도록 하는 조례를 제정해 전국 최초로 시행된다.

서울시의회 서윤기 의원(더불어민주당ㆍ관악2)은 ‘서울특별시 사회적 가족도시 구현을 위한 1인 가구 지원 기본 조례안’이 지난 9일 열린 제266회 임시회 본회의를 통과해 이달 중순 시행한다고 11일 밝혔다. 


이 조례안에 따르면 서울시는 1인 가구에 대한 실태조사를 통해 주거와 복지 및 건강 격차해소, 공동생활가정, 소셜다이닝, 여가생활 등 1인 가구 복지지원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또 서울시는 노인, 여성, 청년 1인 가구에게는 맞춤형 복지 정책을 시행해야 된다.

이를 통해 1인 가구의 생활 편의 및 심리적 안정을 가져올 뿐만 아니라, 사회적 연결망 구축 할 수 있게 됐다.

통계청 자료(2014년 12월 기준)에 따르면 우리나라 1인 가구는 전체 가구의 34.01%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서울의 경우에는 1인 36.38%, 2인 19.59%, 4인 19.24%, 3인 가구 18.68% 순으로 나타났다. 중구 을지로동(77.07%)을 포함한 6곳은 1인 세대가 70%가 넘어 1인 가구에 대한 정책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서윤기 의원은 “이달 중순에 시행되면 1인 가구에 대한 실태조사와 더불어 종합적인 정책이 나와 보다 체계적인 지원 및 관리가 가능해 질 것”이라며 “주거문제, 경제적 빈곤, 사회적 고립 문제 등의 해소를 위한 각종 행정적 체계가 구축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mkka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