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지난해 ‘아파트 풍년’…수도권 착공면적 전년比 172% 증가
[헤럴드경제=박준규 기자] 지난해 건축 인허가 면적이 최근 5년새 최대치를 기록했다. 주택시장에 온기가 돌면서 아파트 분양이 봇물 터진 결과로 분석된다.

국토교통부가 9일 내놓은 건축 인허가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를 통틀어 전국에서 인허가가 떨어진 건축물 면적은 1억9065만2000㎡으로 전년보다 38.1%가 증가했다. 동(棟)수로 따지면 26만5651동이 인허가를 받아 12.3% 증가했다. 본격적인 공사에 돌입(착공)한 면적(1억5374만3000㎡)은 전년 대비 38.3% 늘어났다.

시군구 중에서는 경기도 화성(6925㎡)을 비롯해 용인(6250㎡), 수원(5533㎡), 경남 창원(4042㎡), 충남 천안(3787㎡), 세종(3507㎡)에서 인허가가 이뤄진 건축물 면적이 많았다.

특히 작년은 주택 건설이 풍년이었다. 주거용 건물의 건축 허가(8533만1000㎡)와 착공(6846만2000㎡) 면적은 2014년과 견줘 각각47.9%, 50.3%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작년에 76만5328가구의 주택이 인허가를 받았는데, 이는 관련 통계가 생산된 1977년 이후 가장 많은 수준이다.

주거용 건물 가운데서 아파트의 건축 인허가 면적이 58.1% 뛰었다. 이는 아파트 분양이 최고조에 달했던 지난해 시장 상황을 그대로 반영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사진=헤럴드경제DB]

특히 수도권에서 이뤄진 건축 허가와 착공 면적이 크게 늘었다. 작년 수도권 내 아파트 건축 허가 면적은 1544만5000㎡으로 1년 전보다 96.9% 증가했고 착공 면적은 1373만㎡으로 무려 172.0% 뛰었다.

건축 허가 면적만 놓고 보면, 증가폭이 가장 큰 곳은 인천(255.3%)이고 부산(201.3%), 전북(158.7%), 충북(151.7%), 경기(106.2%)가 뒤를 이었다.

이들 지역에선 대규모 부지를 차지하고 조성되는 대단지 아파트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표적으로 인천 서구 가정지구에 들어서는 시티프라디움(19개동ㆍ18만6000㎡), 파주 운정지구 힐스테이트(25개동ㆍ40만7000㎡), 부산 서구 이진베이시티(5개동ㆍ30만9000㎡) 등이다.

한편, 이날 국토부가 발표한 건축 인허가와 관련된 자세한 통계는 건축행정시스템(http://www.eais.go.kr)과 국토부 홈페이지 (http://www.molit.go.kr)에서 조회할 수 있다.

whywh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