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산골·골목길까지 다 잡아준다”
현 GPS보다 30배 정확
국토부, 신 내비기술 세계 첫 개발


현행 GPS(범지구 위치결정 시스템)보다 정확도가 최대 30배에 이르는 차세대 도로교통용 정밀 위성항법기술을 우리나라가 세계 처음으로 개발 완료했다. 자율주행차에 탑재하는 내비게이션에 적합한 기술로, 오차는 차로구분까지 가능한 1m이내다. 차량 운전자들이 목적지를 찾아가는 과정에서 고가도로 등에 진입해야 하는 데도 이와 평행하게 놓여있는 일반도로를 탔더라도 현행 내비게이션은 이를 잡아내지 못하는 한계를 극복하는 기술이다.

국토교통부는 이런 기술을 실용화하고 보급하기 위해 충북 오창에서 기술 시연회를 개최한다고 8일 밝혔다. 국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2009년 기술 개발에 착수해 작년말 원천기술 개발을 완료, 성능 검증까지 마친 기술이다.

통상 오차는 20~90㎝로 최대 허용오차는 1.5m다. 현재 널리 보급된 자동차 내비게이션 등은 오차가 약 15~30m 수준이다. 차로구분이 필요한 자율주행차, 차세대 지능형 교통체계(C-ITS)엔 사용할 수 없었던 제약을 뛰어넘는 것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현행 내비게이션은 도로를 벗어나 달려도 본선을 달리는 것으로 지도상에 표시된다”며 “이번 기술은 차로구분이 가능한 오차범위 1m이내 수준의 도로교통용 초정밀 위성항법 기술을 확보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 기술은 현행 내비게이션 제품이 사용하는 GPS코드에 더해 GPS반송파(주기가 짧아 정확도가 높음)를 사용해 위치오차를 대폭 개선하고, 이동 중에도 실시간으로 정밀 위치 정보를 파악한다는 게 특징이다.

아울러 이 기술은 1만원대의 저가 칩을 사용해 기존 내비게이션 단말기 가격과 큰 차이가 나지 않아 상용화ㆍ보급이 빠를 걸로 국토부는 예상하고 있다.

국토부는 내년부터 수도권에 시범 서비스를 시작할 계획이다. 이에 앞서 단말기 기술을 민간에 이전하고, GPS 신호를 보정하는 인프라를 수도권에 우선적으로 구축한다. 또 평창 동계올림픽 자율주행차 시범주행이 가능하도록 2018년부턴 서비스를 전국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차세대 도로교통 정밀 측위 기술은 자율주행차 외에도 C-ITS, 상업용 드론, 고기능 스마트폰, 시각장애인 보행안내, 골프 스마트 캐디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어 위치정보 산업의 경쟁력 향상은 물론 수 조원의 사회경제적 효과가 있을것으로 전망한다”고 했다.

국토부는 또 이 기술의 상용서비스를 제공하는 국가가 없는 데다 항공이나 해양과 달리 국제표준도 없는 상황인 점을 감안해 국제표준화 활동도 추진할 계획이다. 

홍성원 기자/hongi@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