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與 문건 유출 파문, 3대 쟁점
[헤럴드경제=김상수 기자] 새누리당 문건 유출 파문이 확산일로다. 또다시 진실공방, 검찰 수사까지 오르내린다. 살생부 파문에 이은 2차 논란이다. 문건 진위부터 유출 경로, 유출 이유까지 갑론을박이 치열하다. 이미 임계치에 다다른 공천 갈등도 일촉즉발의 위기에 섰다. 문건 유출 파문의 3대 쟁점이다.

문건은 진짜인가? = 괴문서가 퍼진 건 지난 3일 오후 4시께. 출처가 없는 여론조사 결과가 담긴 문서가 카카오톡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타고 정치권 안팎으로 유포됐다. 문건에는 지역명, 예비후보 이름, 숫자만 적혀 있다. 일부 후보 이름에는 이름 대신 ‘알파벳 A’로 무기명 처리돼 있기도 하다.
문건에 거론된 지역구는 경선에 민감한 지역구가 대거 포함돼 있다. 서울 주요 경선 격전지와 인천ㆍ경기, 부산, 경남 등 새누리당 텃밭 지역이다. 특히 대구가 대거 포함돼 있다는 게 눈길을 끈다. 진박(眞朴) 후보가 출마한 지역구의 여론조사 결과가 세세하게 적혀 있다. 대구 한 현역 의원은 경쟁 예비후보보다 16%포인트나 크게 뒤진 것으로 나왔다.

일단 새누리당 싱크탱크인 여의도연구원이 공천심사용으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라는 데에는 이견이 없는 분위기다. 다만, 일부 이름을 익명처리하고 거론된 실명도 10명 이상 오타가 있다는 점, 문건에 중복 명시된 여론조사 결과의 숫자가 다르다는 점 등에서 이 문건이 원본이 아닌 옮겨 적은 문건이란 해석이 나온다. “내용을 믿을 수 없다”는 주장이 내세우는 근거다.

반면, 어차피 옮겨 적은 문서라면 오차를 감안하더라도 이 문건 자체를 무시할 수 없다는 주장도 만만치 않다. 전자는 문서 유출에 따른 논란이 확산되는 걸 자제하려는 입장이라면, 후자는 이번 문건 유출을 공천 세 싸움의 기회로 삼으려는 의도가 짙다. 

이한구 새누리당 공천관리위원장이 4일 오전 서울 여의도 새누리당 당사에서 현안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박해묵 기자/mook@heraldcorp.com

문건은 어디서? = 가장 논란이 되는 지점이다. 문건이 어디서 어떤 경로로 유출됐는지다. 이한구 공천관리위원장은 4일 긴급 기자브리핑을 열고 “공천관리위원회는 아니다”고 수차례 강조했다. 그는 “절대 공관위원으로부터 나온 자료가 아니란 자신감을 갖고 있다”며 “메모를 해서 나올 수 있는 성격도 아니다. 만약 유출됐다면 다른 곳에서 됐을 것”이라고 해명했다.

조사 결과 공관위 관련자가 유출자로 나올 가능성에 대해서도 “절대 그럴 수 없다. 심의할 때 보기만 하고 다 수거해가는데 어떻게 (유출)하겠냐”고 했다. 공관위가 자료를 확인했더라도 열람만 하고 문서를 회수했기 때문에 유출 자체가 불가능하다는 주장이다.

공관위가 아니라면 여의도연구원이나 당 지도부일 가능성도 있다. 현재로는 모두 관련 사실을 부인하면서 엄중한 진실규명을 요구하고 있다. 연이어 진실 규명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불거지면 결국 공은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몫이다. 중앙선관위는 상황에 따라 검찰 수사까지 강행하겠다고 했다. 검찰 수사까지 가는 건 새누리당 입장에서도 부담이다. 친박계, 비박계를 떠나 총선을 목전에 둔 시점에서 내부 문건 유출로 검찰 수사를 받는다는 것 자체가 역풍이다. 이에 따라 검찰 수사로 비화되기 전에 적절한 선에서 해프닝으로 무마시킬 가능성도 있다. 


문건 유출은 왜? = 누군가 문건을 유출했다면 그 이유에도 해석이 분분하다. 친박계는 비박계를, 비박계는 친박계를 겨냥하는 분위기다. 우선 문건 유출 자체가 공관위의 신뢰성을 흔들게 되고, 이는 이 위원장 및 친박계와 각을 세우는 비박계로는 나쁠리 없다. 친박계가 비박계를 의심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여론조사 결과를 흘리면서 ‘현역 물갈이’ 드라이브에 제동을 가하려는 목적이 담겼다는 주장이다.

비박계는 친박계의 현역 물갈이 의도가 이번 문건을 통해 확인됐다고 반발한다. 실체도 불분명한 여론조사를 흘려 비박계 현역 의원을 압박하려는 의도란 주장이다. 특히 TK 등 계파 갈등이 첨예한 지역에서 이 같은 반발이 거세다. 현역 의원이 결코 강세가 아니라는 불명확한 내용을 흘려 물갈이 여론전을 펼친다는 의혹이다.

이 위원장과 김 대표의 신경전 연장선에서 보는 시각도 있다. 이미 수차례 신경전을 벌인 직후이기에 이번 문건 유출에도 미묘한 신경전이 이어지리란 얘기다. 이 위원장은 이날 “만약 유출됐다면 다른 곳에서 됐을 것”이라며 “권위 기관이 빨리 수사에 착수해 진실을 규명해달라. 동기를 찾아내 공관위를 흔들려는 움직임을 빨리 차단해주길 바란다”고 했다. 최근 공개적인 발언을 자제하고 있는 김 대표는 이날 역시 기자들의 질문에도 특별한 답을 내놓지 않았다.

dlc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