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SK이노베이션‘배터리 3强’ 박차
가동률 100%·글로벌 수주확대
선발 LG화학·삼성SDI ‘긴장’


SK이노베이션이 전기차 배터리 사업을 강화하면서 기존 양강 구도를 형성하고 있던 LG화학과 삼성SDI 가 긴장하고 있다. 최근 다임러의 벤츠 전기차 모델에 배터리를 공급하기로 하는 등 글로벌 수주 확대에 적극 나선 SK이노베이션은 새로운 ‘배터리 3강(强)’ 구도를 구축중이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SK이노베이션 배터리 생산라인의 가동률은 100%로 경쟁사의 두배에 달한다.

SK이노베이션은 최근 다임러의 벤츠 전기차 모델에 배터리를 공급하기로 하는 등 글로벌 수주 확대에 적극 나서 새로운‘ 배터리 3강(强)’ 구도를 구축중이다.

중대형 생산설비를 기준으로 하면 LG화학 4.9GWh(기가와트시), 삼성SDI 4.8GWh, SK이노베이션 0.8GWh 규모로 아직 격차가 크지만 SK이노베이션은 효율가동으로 생산규모 열위를 극복하는 중이다.

SK이노베이션의 지난해 매출은 전기차 1만대 수준.

특히 SK이노베이션은 선수주 후 라인투자 방식으로 효율을 최적화하고 있다. 대규모 투자로 덤핑 가격 수준으로 물량을 수주받는 것이 아니라 이른바 돈되는 수주만 받겠다는 것이 내부 방침이다. 즉 100% 가동률을 유지하면서 증설을 통해 신규 수주물량을 소화하는 구조다.

SK이노베이션 관계자는 “배터리 3사 모두 5년 이상의 가동물량을 수주한 상황이나 실제 가동률에는 차이가 있다”며 “당사는 투자-생산-마케팅을 연계하는 배터리 비즈니스 모델의 최적화를 추진중”이라고 설명했다.

후발주자인 SK이노베이션을 눈여겨봐야하는 이유 중 하나는 중국 시장이다. SK이노베이션은 미국을 밀어내고 전기차 시장 세계 1위로 부상한 중국에 국내업계 최초로 진출해, 현재 중국 4대 메이저 자동차 중 하나인 베이징 자동차와 JV(조인트벤처)로 안정된 물량을 공급 중이다.

베이징자동차는 전기차 시장에서 2015년 누적 기준 점유율 20%로 중국 전기차 업체 BYD에 이어 2위로 시장을 이끌고 있다.

베이징자동차 및 베이징전공과 손을 잡은 합작법인 BESK(Beijing BESK Technology)처럼 SK이노베이션은 JV 등을 통한 글로벌 파트너링으로 경쟁력을 강화하는데도 일가견이 있다. SK이노베이션은 사우디 사빅(SABIC), 중국 국영정유사 시노펙(Sinopec)과도 손을 잡은 바 있다.

SK이노베이션은 현대ㆍ기아차, 베이징자동차, 다임러 등 기존 파트너와의 협력관계를 강화하는 한편 영향력 있는 고객사와의 JV를 통해 지속 성장하겠다는 각오다.

후발주자지만 기술력에서 밀리지 않는다는 것도 SK이노베이션의 배터리를 무시할 수 없는 이유다.

SK이노베이션은 배터리 내 핵심부품인 배터리 분리막(LiBS) 생산에 성공, 해당 분야에서 글로벌 2위다. LiBS 사업을 통해 제품 개발 초기부터 공동 연구가 가능하기 때문에 수직계열화를 통한 사업간 시너지를 기대할 수 있다는 평가다.

또한 기술력이 필요한 파우치 타입 배터리 생산이 가능한 곳도 LG화학과 SK이노베이션 단 2곳 뿐이다.

오연주 기자/oh@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