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선거구 획정에 ‘총선 보이콧ㆍ헌법소원’ 움직임… “생활권 다르다”
[헤럴드경제] 총선을 45일 남겨두고 선거구 획정안이 국회에 제출된 가운데, 선거구가 통합된 지역 주민들이 불만을 표시하며 총선을 보이콧하거나 헌법소원을 내려는 집단 행동 움직임까지 보이고 있다. 통합된 지역 간에 생활권, 문화권, 정서 등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획정안에 따르면 분구 지역은 16개, 통합 지역은 9개였으며, 이밖에 구역조정 5곳과 자치 구ㆍ시ㆍ군 내 경계조정 12곳, 선거구 명칭 변경 6곳으로 집계됐다.

28일 획정안이 공개되자 통합된 지역에서는 반발의 목소리가 터져나오고 있다.

가령 경상북도 영주는 그동안 단독 선거구였다가 문경ㆍ예천과 통합됐다. 박찬훈 영주시의회 의장은 “생활권, 동질성 면에서 문경과는 차이가 많이 나고 봉화와 생활권이 같아 봉화와 묶였으면 했는데 아쉽다”며 “3개 시ㆍ군에서 1명의 국회의원을 뽑으면 상황에 따라서는 지역발전 등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되는 지역이 나올 수도 있다”고 말했다.

또 경상북도 군위ㆍ의성ㆍ청송과 선거구가 합쳐진 상주 역시 반발이 크다. 상주는 의성과 인접해 있지만 군위와 청송은 멀어서 별다른 교류가 없다며 반발해 왔다. 임부기 상주시의원은 “경북은 선거구가 2개 줄어 농촌지역 발전을 희망하는 유권자들의 바람이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며 “도시지역만 더 혜택을 보는 방향으로 조정이 됐다”고 지적했다.


경남에서도 의령ㆍ함안은 밀양ㆍ창녕 선거구로, 합천은 거창ㆍ함양ㆍ산청 선거구로 조정됨에 따른 불만이 커지고 있다. 특히 의령·함안 지역은 지난 26일 ‘선거구 지키기’ 궐기대회에 이어 앞으로도 계속 투쟁을 이어 나간다는 방침이다.

차정섭 함안군수는 “지역 국회의원의 부재 탓에 주인 없는 집에 도둑질당한 기분이다”며 “선거구획정안이 국회 처리가 되지 않도록 군민 반대 의견을 계속 결집하겠다”고 말했다. 또 오용 의령군의회의장은 “의령 선거구가 쪼개진다면 헌법소원을 해서라도 반드시 막을 것이다”며 “의령군민 대다수는 총선 투표에 참여하지 않을 각오까지 되어 있다”고 말했다.

또 부산은 중ㆍ동구가 분리돼 각각 영도구와 서구에 편입됐는데, 해당 지역 출마 예상자와 주민들이 반발하고 있다. 중ㆍ동구 새누리당 예비후보 최형욱 전 시의원은 “인구 상하안을 28만명과 14만명으로 정한 것은 위헌의 소지가 있어 헌법소원을 제기할 것”이라고 반발했다. 또 양미숙 부산참여연대 사무국장은 “서구와 동구는 인접 지역도 아닌데 같은 선거구로 묶은 것은 결국 영도의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와 서구의 유기준 의원 등 유력 정치인의 충돌을 피하려는 정략적인 결정”이라고 비판했다.

충북에서도 ‘남부3군’(보은ㆍ옥천ㆍ영동)과 괴산군을 합치기로 하면서 민심이 들썩이고 있다. 괴산군민들은 ‘총선 보이콧’까지 거론하고 있는 상황이다. 새누리당 임회무 도의원은 “괴산 출신 국회의원이 나올 수 없게 됐는데, 선거할 필요가 있느냐”고 “총선 거부에 나설지 지역 주민과 협의하겠다”고 반발했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