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안보리 대북제재 주중 결의안 채택”
美·中외무 “양국 중대한 진전”
케리 “北비핵화땐 사드 불필요”



미국과 중국이 북한의 핵실험과 장거리 미사일 발사에 대응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대북제재 결의와 관련해 ‘중대한 진전’이 있었다고 입을 모으면서 이르면 이번주 안에 결의안이 채택될 가능성이 커졌다. 특히 한국 내 사드 배치에 대해 미국이 유연한 모습을 보이면서 압박 일변도에서 대화 국면으로의 전환 가능성도 열어뒀다. ▶관련기사 3면

24일(한국시간) 존 케리 미국 국무부 장관은 왕이 중국 외교부장과 회담 후 열린 공동 기자회견에서 “미ㆍ중 양국은 유엔을 통한 적절한 합의가 필요하다는데 합의했다”고 밝혔다. 이어 “대응이 신속히 나오도록 노력해나가기로 합의했다”고 말했다.

왕이 부장은 “북한의 미사일 발사를 용납할 수 없다”며 북한이 주장하는 ‘핵보유국’ 역시 용납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또 유엔 안보리 논의에서 ‘중요한 진전’이 있었다고 밝혔다. 다만 왕이 부장은 비핵화 협상과 함께 평화협정 논의를 병행해야 한다는 입장을 다시 강조했다.

이로써 지난 6일 북한이 4차 핵실험 도발을 강행한지 꼭 50일 만에 이뤄진 이번 양국 간 합의로 국제사회의 대북제재는 종착점을 눈앞에 뒀다.

미ㆍ중 간 치열한 신경전을 벌인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ㆍTHAAD)의 주한미군 배치와 관련해서 미국은 다소 유연한 모습을 보였다.

케리 장관은 “사드 배치를 고려하지 않을 조건은 (북한의) 비핵화”라며 “북한 비핵화만 이룰 수 있다면 사드는 필요 없다”고 밝혔다. 이어 “사드는 공격 무기가 아니라 순전히 방어무기”라며 “만약에 사드가 배치된다면 한국과 미국의 보호를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사드에 대한 중국과 러시아의 우려를 알고 있다면서 “우리는 사드 배치에 급급하거나 초초해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왕이 부장은 사드를 직접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관계 당사국들이 한반도 긴장을 고조하는 어떤 행위도 해서는 안 된다”고 말해 반대 의사를 내비쳤다. 이어 “다양한 불안정 요인들이 얽혀있고 영향을 미친 상황에서 다양한 당사자들이 긴장 고조를 막는 대화를 더 많이 하는 게 매우 중요하다”고 왕이 부장은 강조했다.

김우영 기자/kw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