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미국이 약정체결 연기 요청.. 주한미군 “미 정부와 대화 안끝나”
[헤럴드경제=김수한 기자] 주한미군이 빠르면 24일 사드(THAADㆍ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를 위한 한미 공동실무단 약정 체결이 가능할 것이라고 23일 밝혔다.

국방부는 이날 “류제승 국방부 국방정책실장 요청으로 토머스 밴달 미8군사령관이 오후 5시경 국방부 청사를 방문해 약정 체결이 연기된 배경에 대해 설명했다”며 “미 8군 사령관은 ‘주한미군 사령부와 미 정부간 진행 중인 대화가 종결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고 밝혔다.

국방부에 따르면, 미8군사령관은 약정 체결에 대해 “빠르면 24일 체결이 가능하고 더 늦어질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사드 발사장면.

한편, 국방부 설명에 따르면 이번 약정 체결 연기는 미국 요청에 의한 것인 것으로 드러났다.

국방부는 23일 오전 정례 브리핑에서 미국 요청에 의해 약정 체결이 미뤄진 것 아니냐는 질문에 “아는 바 없다”고 대답한 바 있다. 그러나 이번 미8군사령관의 설명한 정황에 따라 약정 체결을 요청한 측이 미국임이 사실로 드러난 셈이다.

앞서 23일 오전 국방부는 사드의 주한미군 배치를 위한 한미 협의체인 공동실무단의 운영에 관한 약정을 23일 체결한다고 공지했다가 갑자기 번복했다.

국방부는 한미가 23일 오전 11시께 공동실무단 운용에 관한 약정을 체결할 것이라고 22일 저녁 언론에 공지했다. 그러나 이날 오전 10시15분께 약정 체결이 1~2일가량 지연될 것으로 보인다고 돌연 공지 내용을 수정했다.

한미는 약정을 체결한 다음 공동실무단을 가동해 사드 배치를 협의한다는 일정을 짜놨다. 약정은 공동실무단의 양측 책임자와 인원 구성, 회의 의제, 회의 과정 보고체계, 회의록 작성 원칙 등 공동실무단 운영에 관한 규범 성격의 문서다.

정부가 약정 체결을 돌연 연기하자 23일(현지시간) 왕이 중국 외교부장이 방미해 존 케리 미 외교장관과 회담을 앞뒀기 때문이라는 관측이 제기된 바 있다.

이번 미측 설명은 이런 관측을 뒷받침해주는 부분이어서 주한미군 사드 배치가 중국의 대북제재 동참을 위한 대중 압박용 카드로 활용되고 있다는 관측에 설득력을 실어주고 있다. 

soo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