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韓美 ‘사드 약정체결’ 연기는 美中 힘겨루기 희생양?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한미간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의 한반도 배치 문제를 논의할 공동실무단 약정체결이 돌연 연기됐다.

문상균 국방부 대변인은 23일 정례브리핑에서 “지금 관련 약정은 최종 마무리단계에 있지만 마지막으로 조율할 내용이 있어서 하루 또는 이틀 후에 체결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마지막 조율할 내용’에 대해선 “저도 확인중에 있다”며 답변하지 못했다.

한미 양국은 애초 사드의 한반도 배치 문제를 논의할 공동실무단 약정 체결을 이날 오전 발표할 예정이었으나 발표를 불과 1시간도 남겨두지 않고 돌연 연기한다고 밝혔다.


문 대변인은 약정 체결 연기 사유에 대해서는 “한미 간에 어떤 이견이 있다거나 그렇지는 않다. 원만하게 조율을 하고 있다”면서도 명확한 설명을 내놓지 못했다.

한미간 약정체결이 돌연 연기된 것과 관련해선 미국이 왕이(王毅) 부장의 방미기간 중국으로부터 강력한 대북제재 결의안 동의를 이끌어내기 위해 한발짝 물러선 것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된다.

중국이 사드의 한반도 배치에 대해 반대하고 있고 북한에 대한 제재를 위한 제재는 안 된다는 입장을 고수하는 상황에서 한미간 공동실무단 약정체결을 희생양으로 삼았다는 얘기다.

약정체결 연기도 미국측의 요청에 따른 것으로 알려졌다.

왕이 부장은 23일(현지시간) 미 워싱턴D.C를 방문해 존 케리 미 국무장관과 회동을 갖고 북한 4차 핵실험과 장거리로켓 발사에 따른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제재 결의안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특히 사드의 한반도 배치를 놓고 치열한 신경전을 펼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은 사드의 한반도 배치에 대해 공식 반대 입장을 천명한 이후 한반도에 전개되는 사드를 공격할 수 있다고 하는 등 공격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문 대변인은 ‘왕이 외교부장의 미국 방문에서 대북제재와 사드의 한반도 전개를 둘러싼 논의를 지켜보고 사드 논의를 진전시키려는 것 아니냐’는 취지의 질문에 “유엔 차원에서 이뤄지는 대북제재와 한미동맹 차원에서 이뤄지는 사드 배치 문제는 별개의 사안”이라고 답변했다.


shind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