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느그 아버지 뭐하시노?”??? 자녀 진로 좌우하는 부모 직업
[헤럴드경제=정진영 기자] 부모의 직업이 전문적이거나 지위가 높을수록 자녀의 진로 선택에 영향을 미칠 확률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아르바이트 전문포털 알바천국(www.alba.co.kr)이 만 19세 이상 35세 이하 청년 1183명을 대상으로 부모의 직업별 자녀의 진로에 대한 개입도의 상관성을 10점 척도로 분석한 결과, 부모가 가진 직업에 따라 자녀의 진로 설정에 개입하는 수준이 상이한 것으로 드러났다.

부모의 직업을 전체 13개 직군으로 분류한 이번 조사에서, 자녀 진로개입도가 가장 큰 직업군은 교사ㆍ교수 등 ‘교육직’으로 평균 5.41점의 개입도를 보였다. 이는 전체 부모의 평균 개입도인 4.45점보다 21.5% 높은 수준이다.

영화 `친구`의 한 장면.

특히 교육직은 자녀 진로 개입 수준에 7점 이상의 높은 점수를 준 비율이 무려 39%나 됐다. 이는 교육직이 실제 교육 현장에 몸담고 있는 만큼 현실에 대한 체감도가 높은데다, 전문적인 진로 설정 및 교육에 관여할 수 있는 환경이 잘 조성돼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교육직에 이어 고소득 자영업자(5.24점), 사무직(5.07), 고용주(4.71), 공무원(4.65) 등이 5위권에 올랐으며 전문관리직(4.43), 의사ㆍ변호사ㆍ예술가 등 전문직(4.28), 서비스직(4.25)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반면 저소득 자영업자(4.19), 무직(4.16), 기계ㆍ기능ㆍ장치 등 숙련노동자(3.99), 농어업(3.8) 등은 상대적으로 자녀의 진로에 개입하지 않는 하위 직군으로 분류됐다. 특히 단순노무직은 3.69로 최하위 직군으로 조사됐다.


알바천국은 “최근 이슈화되고 있는 ‘수저론’처럼 소득과 지위가 높고 안정적인 직업을 가질수록 자녀의 진로형성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점이 실제 조사로서 나타난 결과”라며 “부모의 직업 수준에 따라 청년들의 직업 인식과 사회 출발선이 달라질 수 밖에 없는 현실을 엿보게 하는 것”이라고 전했다.

123@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