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中, ‘오키나와 특급’ 둥펑-16B 실전 배치한듯
[헤럴드경제=김수한 기자]중국군이 최신형 준중거리 탄도미사일 둥펑(東風)-16B를 실전 배치한 것으로 보인다는 분석이 나왔다. 둥펑-16B는 일본 오키나와에 있는 주일 미군기지를 효과적으로 타격할 수 있는 성능을 보유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국 군사 전문사이트인 ‘코롤료프 군사방’은 20일 관영 중국중앙(CC)TV가 최근 군사보도채널을 통해 인민해방군 로켓군이 둥펑-16 개량형(둥펑-16B)으로 보이는 미사일을 쏘는 장면을 공개했다고 전했다.

둥펑-16은 지난해 9월 베이징에서 열린 항일전쟁 승리 70주년 기념 열병식에서 처음으로 정식 공개됐던 미사일로 사거리가 1000㎞ 전후로 알려졌다.

이 사이트는 “둥펑-16은 미국과 일본의 제1열도선 봉쇄를 뚫기 위해 만들어진 비장의 무기”라며 ‘오키나와 특급’이라는 별명도 붙어 있다고 전했다.

‘열도선’이란, 중국의 대미 군사방어선으로, 제1열도선은 일본 오키나와에서 대만, 필리핀을 잇는 가상의 선을 지칭한다.

이 사이트는 또 사거리가 800㎞인 둥펑-15B, 둥펑-15C도 오키나와 기지를 공격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니고 있지만, 저장(浙江)성 연안에 미사일 기지를 배치해야 해 노출 위험성을 안고 있었다고 부연했다.

둥펑-16B에는 ‘집속탄두’가 탑재돼있는 사실도 확인됐다.

이 사이트는 둥펑-16B이 지상목표물을 타격하는 화면을 분석, “전형적인 활주로파괴용 탄두가 탑재됐다”며 “이 미사일 6∼8개면 오키나와 가데나(嘉手納) 기지, 나하(那覇) 기지 등 (미일의) 해공군 기지 활주로를 무용지물로 만들 수 있다”고 주장했다.



중국이 최근 ‘항공모함 킬러’로 알려진 둥펑-21D를 발사하는 장면을 공개했다는사실도 이 사이트는 소개했다.

‘코롤료프 군사망’은 중국이 미사일 발사 훈련을 잇달아 공개한 것은 일본이 센카쿠(尖閣·중국명 댜오위다오<釣魚島>) 문제에 대해 강경대응 방침을 밝히고, 미국과 일본이 남중국해 개입 행보를 강화한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분석했다.

중국이 최근 기관포가 탑재된 해경선을 센카쿠 해역에 진입시키자 일본은 ‘자위대 군함 파견’ 방침으로 맞대응했다.

미국은 지난해 10월과 올해 1월 잇달아 남중국해 스프래틀리 제도(남사군도)와 파라셀 군도(서사군도)에 군함을 진입시켰고, 일본은 미국의 이런 행보를 강력히 지지하고 나섰다.

한편, ‘코롤료프 군사망’는 이번 분석글에서 “중국의 둥펑-11과 둥펑-15는 사거리가 300∼800㎞로 대만, 한국, 베트남 등을 효과적으로 타격할 수 있다”며 한국 내미군기지 역시 로켓군의 타격범위에 있다는 점을 은근히 암시했다.

soo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