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인천시 남북관계 당분간 ‘제동’
[헤럴드경제=이홍석(인천) 기자] 인천광역시 남북교류 사업에 제동이 걸릴 상황이다. 개성공단 전면 중단으로 인해 인천지역 입주 기업 피해가 더해 가고 있는 가운데 인천시는 대책 마련에 나섰다.

15일 인천시에 따르면 시가 추진하고 있는 남북 친선 축구경기는 무산됐고, 남북 활쏘기 대회 등 첫 시행 사업도 빛이 바랬다.

올해 강화도조약 체결 140주년을 맞아 추진된 남북 공동 학술대회 준비도 멈춰졌고, 인도적 지원 사업인 말라리아 예방ㆍ치료 사업도 불투명하다.

시 관계자는 “북한의 핵실험과 장거리 미사일 발사로 인해 개성공단 가동이 전면 중단된 현 사태의 엄중함을 인식해 정부 정책에 시 입장을 맞출 계획”이라며 “당분간 직접적인 남북사업 추진은 어려운 실정”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시는 최근 긴급 대책회의를 열고 특별대책반을 구성해 입주기업의 피해 규모를 파악하고 있으며, 정부 방침에 맞춰 입주기업 지원에 나설 계획이다.

시는 긴급대책회의를 통해 지역 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긴급경영안정자금을 지원한다.

시는 지난 2013년 개성공단 폐쇄 당시에도 시가 입주기업에 긴급자금을 지원한 전례가 있기 때문에 조속한 시일 안에 지원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시는 지난 2013년 당시 업체당 평균 10억원씩 총 160억원 규모의 긴급자금 대출을 지원했다.

한편, 개성공단 124개 기업 중 인천에 본사를 둔 업체는 16개이다. 이는 서울과 경기에 이어 세 번째다.

업종별로는 기계ㆍ금속 8개 ,전기ㆍ전자 4개, 섬유 2개, 화학 1개, 비금속ㆍ광물 업종 1개다.


gilbert@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