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미사일 쏜 北에 뺨 맞고 南 사드에 화풀이 하는 中
-北 미사일에 또 체면 구기고도 아무말 못한 中
-南ㆍ美 사드 논의에는 대사까지 불러 항의


[헤럴드경제=이슈섹션]북한의 핵실험에 이은 미사일 발사로 곤란을 겪는 중국이 '화근'인 북한은 못 본 체 하며, 정작 한국을 상대로만 화풀이하고 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한미 정상과 북핵 문제를 협의 한지 이틀 만에 북한은 보란 듯이 장거리 미사일을 발사했다. 중국은 주변국에 냉정한 대응을 요구했다. 정작 한국의 사드(THAADㆍ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문제에 대해 중국 외교부는 주중 한국 대사를 불러 강력 항의했다.


시 주석은 지난 5일 박근혜 대통령과 전화 통화에서 “한반도에는 핵이 있어선 안 되고, 한반도에선 전쟁이 일어나서도 안 된다”며 “북핵 문제 관련국들은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위해 냉정하게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시 주석은 오바마 미 대통령과 통화에서 “현재 한반도 정세는 복잡하고 민감하다”며 대화와 협상을 통한 문제 해결을 강조했다.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도 같은날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교장관과 통화를 갖고 “현 정세 아래에선 각방이 긴장을 격화시킬 수 있는 새로운 행동을 취하지 않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반도 긴장을 격화시킬 수 있는 북한의 미사일 발사를 만류하기 위해 한ㆍ미ㆍ러와 함께 북한을 전방위로 압박한 것이다.

그러나 북한은 7일 장거리 미사일을 발사했다. 시 주석이 한ㆍ미 정상과 한반도 문제를 논의 한지 48시간도 지나지 않은 때였다. 북한이 중국을 당혹스럽게 만든 것은 올해에만 벌써 세 번째다. 지난달 6일 북한은 4차 핵실험과 관련해 중국에 귀띔하지 않았다. 최근에는 6자회담 중국 측 수석 대표인 우다웨이(武大偉) 중국 외교부 한반도사무특별대표가 방북한 날에 맞춰 미사일 발사를 공식 예고했다. 이번 미사일 발사 역시 중국의 최대 명절인 춘제(春節ㆍ설) 연휴에 맞춰 이뤄졌다. 춘제에 북한이 사고를 친 것은 2013년 2월 3차 핵실험에 이어 두 번째다.


이에 대해 정작 중국 외교부는 ‘유감’을 표명하면서도 여전히 각국의 냉정한 대응을 주문했다. 화춘잉(華春瑩)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중국은 유관 각방이 냉정을 유지한 채 신중하게 행동하고 한반도 정세의 긴장을 더욱 격화시키는 행동은 하지 않으면서 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지키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중국의 화풀이는 되레 남한을 향했다. 한국이 미국과 사드 배치 협의를 시작한 것에 대해 중국 외교부는 김장수 주중 한국 대사를 초치(招致ㆍ외교 문제가 벌어졌을 때 대사를 불러 설명을 요구하는 항의의 의사표시)했다. 또 중국 정부는 “우리는 유관 국가가 신중하게 이 문제를 처리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한 나라가 자신의 안전을 도모할 때는 다른 나라의 안전과 이익을 침해해선 안 된다”며 “(사드는) 한반도 정세를 자극해 긴장을 더 높일 뿐 아니라 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지키고 각방이 지금의 정세를 적절하게 대응하는 데도 불리하다”고 했다.


중국의 이같은 태도는 북한의 핵과 미사일보다 이를 빌미로 미국이 대(對) 중국 포위망을 더 죄어 올 것을 우려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한국에 사드가 배치되고 일본이 무장을 가속화하는 게 중국엔 더 최악인 셈이다.

이에 한 외교부 소식통은 “중국이 북중러 대 한미일 구도를 만들면서 북핵 문제를 더 풀기 힘들게 만들고 북한의 오판을 부추기는 결과로 이어질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