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기활법ㆍ북인법은 서명까지 된 것” 쟁점법안 ‘직권상정’ 압박 본격화
[헤럴드경제=이슬기 기자] 김용남 새누리당 원내대변인은 1일 원내 현안관련 브리핑에서 “국회의장의 직권상정으로 입법마비의 악순환을 끊어야 한다”고 밝혔다.

김 원내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더불어민주당은 기업활력제고특별법과 북한인권법의 처리를 위한 29일 본회의 개최 약속을 파기하며 또다시 국회를 공전만 거듭하는 식물국회로 전락시켰다”며 “오랜 기간 협상과 타협을 통해 양당의 원내대표가 합의한 사항도 김종인 더민주 비상대책위원장인 한마디로 수포로 돌아가고 말았다”고 입을 열었다.


김 원내대변인은 이어 현재 국회의 상태를 “대화와 타협의 상대가 사라진 비상사태”라고 진단하며 “그동안 새누리당은 더민주의 합의파기와 정략적 입법지연에 항의하며 정의화 국회의장에게 민생경제법안의 처리를 위한 결단을 수차례 요구했다. 그러나 정 의장은 국회법을 이유로 직권상정을 거부해왔다”고 상황을 전했다.

김 원내대변인은 마지막으로 “그러나 기활법과 북한인권법을 처리한다는 여야 합의는 합의문에 여야 원내대표가 서명까지 완료한 것”이라며 “정 의장은 국회법에 따라 여야가 합의한 기활법과 북한인권법의 직권상정을 결심해 한다. 정 의장은 이제 직권상정의 결단을 내려야 할 때”라고 촉구했다.

yesyep@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