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당심 vs. 민심...새누리, 공천룰에 생사 오락가락(?)
[헤럴드경제=김상수 기자]새누리당 공천관리위원회 인선이 미뤄지면서 예비후보들도 고민이 늘고 있다. 특히 안대희 최고위원이나 조경태 의원 등 여론의 집중조명을 받은 예비후보와 이들과 경쟁할 예비후보들은 더 촉각에 곤두서 있다. 공천 룰 확정에 따라 승패가 엇갈릴 수 있기 때문. 신경전도 치열하다.

핵심은 여론조사 비율이다. 새누리당은 국민여론 70%, 당원 30%로 가닥을 잡았지만, 지역별 특성에 따라 공관위를 통해 국민여론조사 비율을 100%까지 올릴 수 있다고 여지를 남겨둔 상태다.

최근 굵직한 인사가 출사표를 던진 지역이 초미의 관심사다. 기존 당협위원장 등 지역을 다져놓은 예비후보와 새로 입성한 예비후보가 맞붙는다. 기존 예비후보들은 당원 몫의 30%를 반드시 지켜내야 한다는 입장이고 새로 출사표를 던진 이들은 “당의 결정에 따르겠다”고 하지만 속내는 100% 국민여론조사를 원할 수밖에 없다. 이제 막 출사표를 던진 만큼 당원 조직이 사실상 유명무실하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론 서울 마포갑, 서울 노원병, 부산 사하을 등이 꼽힌다. 각각 안대희 최고위원, 이준석 전 새누리당 비대위원, 최근 더불어민주당에서 새누리당으로 당적을 옮긴 조경태 새누리당 의원 등이 출사표를 던진 지역구다. 



세 인물 모두 대중성을 널리 확보한 이들로, 기존 예비후보에 비해 인지도에서 앞선다. 100% 국민여론조사로 진행한다면 승산을 거둘 확률이 높다. 기존 예비후보들이 당원 30%를 강하게 주장하는 배경이다. 또 당에서도 원칙적으로 당원 30%의 비율을 확정한 만큼 명분도 있다는 게 이들 예비후보의 주장이다.

문제는 ’여지’다. 영입인사에게 적용할 경선방식은 공관위, 나아가 최고위원에게 여지를 남겨뒀다. 최근 친박계를 중심으로 인재영입에 당이 적극 나서라는 압박이 거세다. 인재영입을 하면서 이들에게 경선까지 각오하라는 건 앞뒤가 맞지 않다는 주장도 제기한다. 연장선 상에서 영입한 인재에는 경선을 치르더라도 100% 국민여론을 적용하라는 주장도 예견된 수순이다 .

정작 이를 교통정리 할 공관위 구성은 난항을 거듭 중이다. 최고위원 간의 기싸움으로 확정이 늦어지고 있다. 친박계가 추천하는 이한구 의원이 유력하지만,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가 공관위원 인선 권한을 달라고 요청하면서 쉽사리 접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dlc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