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국 건설은 불안한 장작불꽃…해외 수주도 대통령의존 심해”
서울대 건설환경硏 포럼


“작년 건설시장은 좋았다. 하지만 ‘불안한 장작 불꽃’ 같다.”

28일 오후 서울대 호암교수회관에서 진행된 제7회 관지포럼. ‘한국건설의 2025년 주요이슈 전망과 대응 전략’이라는 주제를 내걸고 서울대 건설환경종합연구소가 연 포럼에선 한국 건설산업의 문제점과 당면과제들이 가감없이 제시됐다. 특히 해외수주에 관한 한 대통령 의존증이 과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발제자로 나선 이복남 서울대 산학협력중점교수는 현재의 국내 건설ㆍ부동산 시장을 ‘불안한 장작 불꽃’에 비유했다. 여전히 빛을 내고 있지만 순식간에 바람이 불면 금세 꺼져버릴 수 있다는 점이 닮았다는 이유에서다.

이 교수는 “내수(주택) 시장이 꺼질 것은 시간 문제”라고 진단했다. 그 이유로는 지난해 주택 매매 거래량이 크게 늘었지만 가격 수준은 크게 도약하지 못했다는 점, 분양물량이 일시에 쏟아지면서 향후 ‘분양 절벽’ 현상을 불러올 수 있다는 점을 꼽았다. 민간업체들이 해외에서 거둔 건설수주도 점점 축소되고 있는 것도 우려스러운 대목으로 언급됐다. 그는 “소위 ‘수주 제일주의’가 무너지기 시작했다”고 했다.

해외건설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건설사들이 거둔 해외 수주액은 약 461억달러로 전년과 비교해 30% 축소됐다. 업계에서는 최근 1~2년 사이의 해외건설 상황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의 ‘1차 침체기’(2009~2010년)에 이은 ‘2차 침체기’라고 한다.

정부와 업계를 향한 쓴소리도 나와 눈길을 끌었다. 정창무 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교수는 “국토부가 고급 건설인력을 육성한다면서 특허를 내라고 한다. 우리 업체들이 특허가 없어서 해외 시장에 진출하지 못하는 게 아니다”며 “건설 분야에서의 인재육성, 의사결정 등의 구조개혁이 필요하다”고 했다.

정 교수는 이어 “기업에 뭔가 프로젝트 구상을 제안하면 ‘돈이 안된다. 대통령이 (발주국으로) 가서 수주를 따내게 도와줘야 한다’라는 대답이 돌아온다“고 꼬집었다. 해외수주에 관한 한 대통령 의존증이 과하다는 지적이다.

박준규 기자/whywh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