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현장에서-김우영]한일 군 위안부 합의 한달
지난해 12월 28일 한일 군 위안부 합의가 이뤄진지 한 달이 지났지만 후폭풍은 계속되고 있다. 새해 가장 큰 선물이 될 것이란 정부의 기대와 달리 북극한파에도 소녀상을 지키는 국민은 여전히 길에 서있다.

24년을 끌어온 지난한 협상이 ‘최종적’으로 타결됐음에도 위안부 문제가 갈등의 한복판에 머물고 있는 것은 군 위안부 문제 해결의 어려움을 방증한다.

표면적으로 지난 한 달 간 논란을 키운 건 합의 이후 계속된 일본 주요 인사의 망언과 왜곡된 발언이다. “위안부는 직업 매춘부”라는 집권 자민당 의원의 망발은 입에 담기조차 거북하다. 아베 신조 총리마저 위안부 연행의 강제성을 부인하는 발언을 하면서 합의가 훼손된 것 아니냔 목소리가 커졌다.

우리 정부의 표현대로 ‘일일이 대응할 가치도 없는’ 이런 부적절한 발언들이 한일 관계에 불쑥불쑥 등장하는 건 양국 간 신뢰 기반이 얼마나 허약한지를 보여준다.

위안부 피해 문제는 성격 자체가 양국간 가장 까다롭고 어려운 현안이다. 그 상처가 워낙 크기 때문에 어떤 합의안이라도 아쉽고 모자를 수밖에 없다. 또 이번 위안무 합의로 일본에 의해 한국이 당했던 불행했던 역사문제가 모두 해결된 것도 아니다. 중요한 것은 위안부 합의를 계기로 한일 관계가 개선될 수 있는 모멘텀이 마련됐단 것이다. 그 모멘텀을 살려나가려면 양국간 신뢰 재구축은 필수다. 그래야 한일 양국은 역사문제에 함몰돼 외교, 안보, 경제협력 등 다른 중요한 현안을 뒤로 미루는 잘못을 피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선 조속히 후속회담을 마련해 양국간 이견이나 자국 내에서 벌어진 논란을 테이블 위에 꺼내놓고 함께 해결책을 고민하는 진전된 자세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합의의 성격을 명확히하는 것은 물론 아베 총리의 직접 사과 같은 진정성 담긴 행동변화를 이끌어낸다면 우리 국민도 일본을 신뢰하고 24년 만에 이뤄낸 합의도 그 역사적 의의를 인정받을 수 있을 것이다.

kw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