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제주 하늘길 다시 열렸지만…8만여명 모두 나오려면 이틀은 걸릴 듯
[헤럴드경제=유재훈 기자] 사흘간 폐쇄됐던 제주공항이 지난 25일 정오부터 운항을 재개하면서 다시 하늘길이 열렸다.

활주로가 정상 가동되면서 대기중인 여객기에 쌓인 눈이 치워진 오후 3시께부터 이ㆍ착륙이 재개됐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주말인 23일 오후 5시45분 제주공항을 전면통제한 이후 42시간만에 운항재개를 결정했다. 당초 25일 오후 8시로 예정돼 있던 운항재개 시간을 5시간 가량 앞당긴 것이다. 이로써 제주에 발이 묶였던 8만여명의 승객들이 순차적으로 제주를 떠날 수 있게 됐다.

[사진=채널A 뉴스 캡처]

국토부는 이날 오전 11시께 제주기상대와 협의한 결과 정오를 기준으로 돌풍경보와 대설주의보가 해제되고 활주로 마찰계수도 0.9로 확인됨에 따라 운항 통제를 예정보다 앞당겨 조기 해제했다고 밝혔다. 활주로 마찰계수가 0.4 이상이면 비행기가 이착륙할 수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항공사에서 탑승순서에 따라 대상자에게 문자메시지를 발송한다”며 “많은 인원이 무작정 공항으로 몰리면 혼잡상황이 빚어져 출발이 더 늦어질 수 있다”며 한꺼번에 많은 승객들이 제주공항으로 운집할 것을 우려했다.

제주도에 체류중인 항공승객은 공항터미널에 1400명, 제주시내에 8만5600명등 총 8만6960명으로 추정된다.

이 숫자는 항공사별 예약자 수를 더한 것이라 토요일 결항편 승객이 일요일, 월요일 운항편을 예약하거나 복수의 항공사에 예약한 경우가 많아 실제 체류객 수는 상당부분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제주공항은 시간당 34대가 이ㆍ착륙 할 수 있다. 제주공항이 평소 오전 6시∼오후 11시 운항하면 출발승객은 하루 4만명까지 처리할 수 있다.

국토부는 현재로서는 정기편 143편과 임시편 47편을 투입, 총 190편에 3만9000여석을 공급한다는 계획이지만 현지 상황에 따라 유동적이다.

국토부는 특히 ‘비상상황’이기에 제주공항과 김포공항에서 심야시간 운행을 통해 최대한 많은 여객을 수송할 것이라고 밝혔다.

제주공항은 심야시간 운항 제한이 없으나 통상적으로 오후 11시까지만 운항해왔고 김포공항은 소음 때문에 심야시간 운항제한 규정이 있다.

최종적으로 항공사들이 심야시간대 여객기를 투입하기로 하면 이에 맞춰 공항철도와 지하철, 공항리무진 등 대중교통도 연장 운행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제주공항의 항공기 운항이 재개됐지만, 현지의 승객들이 모두 제주를 떠나기까지는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대기예약 승객 순으로 항공편을 최대한 마련할 계획이지만, 현재 제주도에 체류 중인 승객을 모두 실어나르려면 최소 이틀이상 걸릴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런 가운데, 이번 대규모 항공기 결항에 따른 피해보상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결항의 이유가 항공사 귀책이 아닌 폭설과 한파로 인한 천재지변에 따른 것이기 때문이다. 항공업계는 “천재지변의 경우 항공권은 패널티없이 100% 환불이 가능하다”면서도 숙소 제공과 보상금 지급은 어렵다는 입장이다.

igiza77@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