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매서운 한파에 스마트폰 ‘꺼짐’ 속출…폰도 월동준비 필요
[헤럴드경제=최정호 기자] 낮에도 수은주가 영하 10도 아래에 머무는 한파가 계속되면서 스마트폰이 꺼지는 피해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제조사들은 영하 30도, 50도에서도 ‘작동한다’고 광고하지만, 밖에서 10분만 스마트폰을 손에 쥐고 있어도 꺼지기 일쑤다. 특히 금속 일체형 스마트폰을 고집하는 애플 등 특정 제조사 제품의 경우 설계 결함이 의심될 정도로 피해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25일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충전한지 얼마 안되는 아이폰6S가 금세 꺼졌다”며 “다시 키고 보면 남은 베터리 잔량이 채 40%도 안됐다”는 글이 속속 등장했다. “날이 추우니 내 아이폰도 ‘일 못하겠다’고 태업하는 것 같다”는 자조섞인 한탄도 보였다. 한겨울 스키장에 있는 것 같은 매서운 한파가 계속되면서 아이폰의 베터리가 녹아 흐르는 현상이 속출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관련 업계에서는 ‘얇은 금속 일체형 케이스를 사용하는 스마트폰의 어쩔 수 없는 고질병’이라며 몇 가지 월동 대책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리튬 이온, 또는 최근에는 성형이 쉽고 저장 용량도 큰 리튬 폴리머 전지가 일체형 스마트폰에 사용되면서, 일상적인 외부 온도 변화에도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 같은 현상이 안드로이드 계열 금속 일체형 스마트폰보다, 애플의 아이폰에서 특히 자주 눈에 띄는 것도 특이 현상이다.

아이폰 등에 주로 사용하는 리튬이온 전지는 통상 20도 전후 온도에서 100% 성능을 발휘한다. 대신 온도가 낮아지거나 높아지면 성능이 감소하는 현상을 체감할 수 있다. 요즘같은 영하가 계속되는 날씨에서는 약간의 실외 활동 만으로도 베터리 성능이 급격하게 떨어진다. 전기 애너지를 스마트폰에 꾸준히 보내야 하는 베터리 속 물질이 추운 날씨에 활동을 정지하면서 생기는 문제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보조베터리가 현실적인 방법이라고 권한다. 베터리에 지속적으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해 급속한 방전, 또는 기능 활정 정지 현상을 사전 차단하는 것이다. 손에 들고 사용하는 스마트폰 특성 상, 추운 날 외부에 전혀 노출하지 않고 있을 수는 없기 때문이다. 베터리 충전 과정에서 생기는 열이 스마트폰의 급격한 온도 하락을 막는 것은 덤이다. 스마트폰의 핵심인 휴대성은 떨어지지만, 겨울 철 외부에서 통화, 또는 스마트폰 사용이 필수적인 사용자들에게는 그나마 현실적인 대안이다.

또 열 전도를 조금이나마 줄일 수 있는 케이스를 쓰고, 가급적 주머니에서 꺼내지 않는 것도 방법이다. 그래도 베터리가 완전이 방전, 스마트폰이 꺼졌을 경우에는 바로 키는 것 보다는 따뜻한 실내에서 스마트폰의 온도를 올려준 뒤 사용하는게 좋다.

choijh@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