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긴급 신고전화, 119·112·110으로 통합된다
[헤럴드경제=이혜미 기자] KT가 정부의 ‘긴급 신고전화 통합체계 구축사업’을 수주했다. 이로써 기존 21개 신고번호를 119·112·110으로 통합한 통합 신고접수 체계가 구축된다.

KT는 국민안전처와 총 252억 원 규모의 ‘긴급 신고전화 통합체계 구축 사업’을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 KT는 재난관제시스템 업체 위니텍, 무선통신솔루션 업체 리노스와 컨소시엄을 구성해 참여했으며 지난 22일 계약을 체결했다.

이 사업에서 KT는 현재 15개 정부기관에서 운영 중인 21개의 신고번호를 긴급∙비긴급으로 분류, 이를 긴급재난(119), 범죄(112), 비긴급 민원∙상담(110)으로 통합해 어떤 번호로 걸어도 동일한 신고접수 처리가 가능한 ‘통합 신고접수 체계’를 10월말까지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그간 범죄, 재난, 민원∙상담 등 국민 안전 문제와 직결된 각종 신고전화가 각 기관마다 난립해 혼란을 유발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앞으로는 기관별로 나눠져 있는 복잡한 신고번호를 외울 필요가 없이, 119와 112번으로만 신고하면 급박한 상황에서도 반복 신고 없이 즉각 대응이 가능해진다. 기존의 신고번호 역시 통합번호와 병행해 사용될 예정이다.

아울러 긴급신고전화와 관련해 소방(119), 해경(122), 경찰(112)에서 운영하는 시스템을 상호 연계하는 ‘신고전화 정보전달체계’를 구축, 신고자의 신고내용, 위치정보 등을 실시간 공유해 위기 상황에서 관련기관이 공동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이문환 KT 기업사업부문 부사장은 “본 사업은 국가재난안전체계의 핵심사업으로 이번 수주를 통해 KT는 국민기업으로서 재난안전분야의 사업주도권을 확보할 수 있게 됐으며, 앞으로도 재난안전사업의 레퍼런스를 지속적으로 확보해 국민의 안전을 책임지는 국민기업 KT가 되겠다”고 밝혔다.

앞서 KT는 지난해 11월 조달청과 270억 원 규모의 ‘재난안전통신망 구축 제1사업’에 대한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따라서 이번 긴급 신고전화 통합체계 구축 사업으로, 재난안전분야의 주도권을 공고히 다지게 됐다고 KT는 의미를 부여했다.

ham@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