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갈등의 골 깊어지는 與와 鄭, ‘배은’과 ‘보은’ 설전까지
[헤럴드경제=이슬기 기자] 끝을 모르고 깊어지는 감정의 골 끝에 이제 ‘배은(背恩)’과 ‘보은(報恩)’이라는 고전적 단어까지 등장했다.

지난해 12월 주요 쟁점법안의 직권상정 여부를 둘러싸고 시작된 與(여ㆍ새누리당)와 鄭(정ㆍ정의화 국회의장)의 갈등이다.

약 2달의 시간이 지나는 동안 갈등의 ‘핵’은 쟁점법안의 직권상정에서 국회선진화법 개정안(권성동 새누리당 의원 대표발의, 새누리당 소속의원 8명 동의서명)의 본회의 상정으로 다소 바뀌었지만, 그 양상만큼은 변하지 않았다. 여의도 한강변을 스치는 칼바람보다도 매서운 ‘말의 채찍’은 수은주가 영하로 뚝 떨어진 22일에도 국회의사당 복판을 갈랐다.

(위)정의화 국회의장, (아래 가운데)조원진 새누리당 원내수석부대표. [사진=헤럴드경제DB]

▶與의 ‘공격수’ 조원진, 强强强 압박 지속=이날 조원진 새누리당 원내수석부대표는 정의화 국회의장을 향한 비판의 목소리를 다시금 키우고 나섰다. 정 의장이 지난 21일 기자회견을 열고 새누리당의 선진화법 개정안 본회의 상정을 거부한 데 대한 일종의 ‘압박’이다.

조 원내수석은 22일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 참석해 “야당에게 시간 끌기의 명분을 절대 주면 안 된다”며 “권성동 의원이 대표 발의한 개정안에 87명의 의원들이 동의했다. 한 사람 한 사람이 입법기관인 국회의원 87명이 동의했는데, 이를 무시하는 것은 맞는 처사가 아니다”라고 정 의장을 향해 목소리를 높였다.

조 원내수석은 이어 전날 기자회견에서 정 의장이 신속처리제도의 의결 기준을 과반수로 낮추는 중재안을 언급하며 “과연 야당이 (해당 안을) 받을 것이라고 국회의장은 생각하는지 묻고싶다”며 “이는 경제활성화법과 테러방지법, 노동개혁법 등을 통과시키기에는 미흡할 뿐 아니라 시간 끌기에 동원될 뿐”이라고 반문했다.

조 원내수석은 이날 특히 ‘박형준 사무총장이 국민의당 비례대표 내정설’에 이어 정 의장 본인의 국민의당 행(行) 루머까지 꺼내 들며 이른바 ‘배은’ 논란까지 부추겼다.

조 원내수석은 “오늘 한 신문에 국회의장이 국민의당에서 요청이 오면 그럴(당적을 옮길)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고 나왔는데 오보이길 바란다”며 거듭 정 의장의 대답을 촉구했다.

▶인내와 뚝심의 鄭도 끝내 발끈…“나는 보은을 강조하는 사람”=이에 대해 평소 온화한 인격을 자랑하던 정 의장도 불쾌한 감정을 숨기지 못했다. 정 의장은 이날 출근길에서 조 수석의 발언을 기자들로부터 전해듣고 “그건 있을 수 없는 이야기”라며 국회의장실을 통해 즉시 조치를 취했다.

국회의장실은 곧이어 문자를 통해 “일부에서 나오는 국민의당 관련 이야기는 전혀 근거가 없다. 그런 제안을 받은 적도 없고, 앞으로 그런 일도 없을 것”이라며 “국회의장은 현재 국회에서 논의 중인 각종 현안해결과 여야중재를 위한 노력에만 집중하고 있다. 정확히 확인되지 않은 사안으로 의장의 중재노력을 저해하고 입지를 흔드는 의도에 대해 심히 유감을 표한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정 의장 역시 자신을 찾아온 기자들에게 자신의 평소 인격을 강조하며 “나는 늘 보은을 강조한다. 정의화가 잘나서 국회의장이 된 것이 아니라 새누리당의 후보로 은혜를 입어서 된 것이라 생각한다. 배은망덕한 짓 하지 않는다”고 답답한 심정을 드러냈다.

한편, 새누리당은 지난 18일 국회법 87조를 이용해 선진화법 개정안의 본회의 부의 작업에 착수한 바 있다.

당시 새누리당은 부결 법안에 대해 의원 30명 이상이 요구할 경우 본회의에 자동 부의케 한 국회법 87조를 절묘하게 활용, 원유철 원내대표 등 새누리당 의원들만 참석한 가운데 국회 운영위원회를 열고 신속하게 개정안을 ‘일부러’ 부결 처리했다.

이후 자당 소속 의원 87명의 동의 서명을 받아 개정안의 본회의 상정을 요구했으나 지난 21일 정 의장은 공식적으로 거절의 뜻을 표했다.

yesyep@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